운용사 다수, 바이오 분야에 투자제안서 접수
인기 몰렸지만 심사기준 보다 엄격해질 전망
최근 바이오社 상장예비심사 미승인 다수
-
뉴딜펀드 출자사업에서 바이오 분야 심사가 예상보다 까다로울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올해 들어 바이오 기업들의 상장예비심사 미승인 통보가 잇따르는 등 거래소의 바이오 심사 기조가 엄격해졌다는 평가가 많다. 바이오 상장 문턱이 높아진 만큼 뉴딜펀드 출자사업에도 영향을 미쳐 심사기준이 덩달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정책자금과 민간자금을 매칭하는 정책형 뉴딜펀드 출자사업에 대형 벤처캐피탈(VC)뿐 아니라 자산운용사와 사모펀드(PEF) 운용사들이 대거 출사표를 냈다. 총 3조원 규모로 펀드가 조성되는데 제안서를 제출한 운용사들의 투자 계획 규모는 10조원에 이른 것으로 파악된다.
투자운용업계에 따르면 주목적투자 분야를 선택해야 하는 투자제안형엔 바이오 및 헬스케어 기업 대상 투자제안서가 다수 제출됐다. 운용사 입장에서 바이오 산업은 인공지능(AI) 등 ICT기반 분야보다 비교적 투자처를 찾기 용이하다는 설명이다.
출자기관인 성장금융의 바이오 투자 심사가 깐깐해질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한국거래소 등 당국 차원에서 바이오 기업들에 대한 상장 심사 허들을 높이고 있어 출자사업 또한 기준이 보다 엄격해질 거란 맥락이다.
뉴딜펀드 출자사업을 벌이는 성장금융은 물론 투자제안서를 접수한 운용업계에서도 달라진 당국 분위기를 살피며 긴장하는 분위기다.
-
지난 한 해는 바이오 기업들에 대한 투자심리가 좋은 편이었다. 백신 기대감이 본격화한 하반기 이후로 외국인 집중매수 및 개인 투자가 대거 이뤄지며 주가가 크게 올랐다. 주식시장 훈풍에 힘입어 바이오 기업들의 기업공개(IPO) 러시도 이어졌다. 공모 흥행 여부를 살피는 데 활용되는 지표인 공모금액과 기관 경쟁률도 상당히 높았다. 하지만 실적 기대에 기인한 투심은 아니었다는 점에서 열기가 다소 과열됐다는 지적도 잇따랐다.
바이오 기업 고밸류 우려가 제기될 때마다 거래소는 책임 논란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지난해 증시 훈풍에 힘입어 바이오 기업 상장이 잇따르자 거래소의 부담감이 커진 상황으로 파악된다. 바이오 업종에 대한 불확실성 우려가 여러 차례 부각돼 온 만큼 바이오 심사가 보다 깐깐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란 예측이 많다.
거래소는 당장 상장 심사 기조에 변화는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지난해말 이후로 기술특례상장(기특상장) 허들이 높아져 투자금 회수가 쉽지 않아졌다는 평가가 많다. 올해에만 디앤디파마텍, 오상헬스케어 등 중소 바이오 기업 여러 곳이 코스닥시장 상장위원회로부터 상장예비심사 미승인 통보를 받았다. 거래소의 기특상장 심사기준이 깐깐해지면서 바이오 기업들이 상장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출자기관 내에서도 이 같은 분위기를 인식하는 분위기다. 위탁생산 계획이나 글로벌 기업의 투자의향서(LOI) 등 확실한 성과를 요구할 필요가 있다는 기조도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펀드에 담은 바이오 기업들이 향후 증권시장에 상장했을 경우 지금만큼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됐다. 그간 상장된 신약 개발업체들이 임상 실험을 중단하거나 실패하면 주가가 폭락하는 사례가 많았다. 예상 투자 기업들 대부분 비상장사이다 보니 상장 이후 '오버밸류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다는 부담도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투자업계 관계자는 "거래소 기술성 평가가 깐깐해지고 있으니 투자운용 업계는 물론 출자기관에서도 고민이 깊어지는 모습"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창업 생태계 독려를 위해 수도꼭지를 계속 열어주고는 있지만 투자운용 및 회수전략에 대한 점검도 중요한 만큼 기업가치 책정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블라인드 펀드 심사결과는 2월말 발표 예정이다. 4월중으로 출자자 내부 승인절차를 완료해 출자확약서가 발급되고 10월말 펀드 결성이 완료된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1년 02월 14일 09: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