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대사관 찾아가는 등 정·관계 통한 전방위 '물밑작업'
'원칙대로' 채권단·반중 정서 부담인 더블스타
'공동 인수' 수면 위로…中 교통정리, 법적 문제 해결 과제
-
금호타이어 매각을 두고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과 산업은행 등 채권단의 소송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다만 물밑에서는박삼구 회장 - 더블스타타이어간의 '공동인수' 시도도 물밑에서 시도되고 있다.
최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박삼구 회장 측은 중국 더블스타와 금호타이어 인수를 둔 양사 간 협의를 요청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더블스타 측은 아직은 이 요구에 응하지 않는 상황으로 전해졌다.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더블스타의 주식매매계약(SPA) 거래 체결 직후를 비롯, 과거에도 몇몇 접촉 시도가 이어졌다”라며 “공식적으로는 거절 의사지만 매각 구도가 장기화되면서 (공동인수를) 검토하는 기조로 변화한 분위기도 전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박삼구 회장의 외교창구를 통한 전방위적인 접촉도 이어지는 모습이다. 최근에는 중국 대사관 등을 통해 더블스타와 가교 역할을 요청하는 등 물밑 작업이 한창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박삼구 회장이 최근 중국 대사관을 방문, 중국업체와의 협력 및 차기정부와의 협업 등을 오랜시간 설파한 것으로 얘기가 오가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금호측은 이에 대해서는 "확인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결국 표면상 채권단-박삼구 회장-더블스타 사이에 소송전을 위시한 ‘강대강’ 구도가 여전하지만 현실적으로 동맹이 주는 이점이 적지 않다보니 이 카드도 병행 시도되고 있는 형국이다.
금호타이어 매각 실타래는 점차 꼬여가고 있다. 경제적 측면 보다 정치·외교적 측면이 점차 부각된 탓이 크다. 게다가 ‘5월 대선’이 펼쳐지면서 유력 후보들은 고용 및 지역경제 등 정치적 이슈가 얽힌 이번 거래에 싣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경제적 보복이 이어지면서 반중 감정을 업고 ‘중국으로의 매각은 안 된다’는 주장도 주목받았다.
주도권을 쥐었던 더블스타 측에선 탐탁지 않을만한 상황이다. 내부에선 법률 자문사를 통해 박 회장의 소송 이후 대응 준비를 마치는 등 확고한 의사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박삼구 회장은 충분히 시간이 주어진다면 어떻게든 자금을 구해올 수 있는 인물’이라는 내부 긴장감도 적지 않다는 얘기도 전해지고 있다. 고용 승계 카드까지 꺼냈지만 노조가 오히려 매각 반대 방침을 세우면서 ‘우군’ 확보도 쉽지 않다.
채권단으로서도 어쨌든 ‘원칙대로’를 고수할 수밖에 없는 형국이다. 이미 더블스타 측은 채권단에 자금 증빙도 마쳤을뿐더러 SPA계약 까지 체결했다. 만족할만한 가격도 제시받아 때마침 불거진 거래 외적인 요소가 없었다면 ‘앓던 이’였던 금호타이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채 한달이 남지 않은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채권단이 목소리를 내며 주도권을 발휘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시각에 힘이 실린다.
다만 실제 양측이 극적으로 손을 잡기 위해 넘어야 할 현실적인 난관도 만만치 않다는 분석이 많다.
약 1조원의 인수가를 써낸 더블스타의 배경엔 알려진대로 중국 칭다오 지방 정부의 투자금이 포함돼있다. 더블스타가 일종의 전략적투자자(SI)격으로 인수에 참여한 만큼 자금을 지원한 지방정부 등 재무적투자자(FI)와의 협의도 이뤄져야 한다. 더블스타 입장에선 FI들에게 승인받은 바와 다른 계약조건을 독단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울뿐더러, 내부에서 지난한 협상과정도 거쳐야 한다는 평가다.
더블스타가 합의를 받아들이더라도 쉽지 않은 과제가 남아있다. 금호타이어가 보유한 설비에 대한 분할을 결정할 경우 주도권을 둔 갈등도 예상된다. 금호타이어가 보유한 남경, 천진, 장충 등 중국내 공장을 인수하고 국내 공장을 박 회장 측이 보유한다 하더라도 그 외 베트남 공장 및 미국 조지아 공장 등 해외 설비를 둘러싼 헤게모니 갈등도 예상가능하다. 이에 더해 분리한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에 금호타이어 브랜드를 공유할 수 있는지 여부 등 산적한 법적 공방도 남아 있다.
M&A업계 관계자는 “단순히 중국공장 외에도 회사의 캐시카우 역할을 하는 베트남 공장은 물론 트럼프 이후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기조에서 전략적 거점이 될 미국 조지아 공장 등 해외 설비를 둔 교통정리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건은 결국 양측의 '의지' 문제로 귀결될 전망이다. 이런 어려움에도 불구, 양측이 지닌 각각의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거래성사를 최우선으로 하겠다는 의지가 확고해야 협상이 본격화, 공동인수가 가능해 질것이란 의미로 풀이된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7년 04월 06일 10:05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