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시장도 주춤하며 융자 규모도 축소세
“개인 자금 채권으로 옮겨갈 환경 만들어져”
-
정부가 ‘8.2 부동산 대책’으로 강력한 규제 의지를 드러냄에 따라 개인들의 투자 목적 부동산 거래가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신바람을 내던 주가도 주춤해지며 투자자들의 발걸음을 머뭇거리게 하고 있다.
주요 투자처인 부동산과 주식시장의 매력도가 예전보다 떨어지며 개인들의 투심이 채권 시장으로 이동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난 2일 정부는 투기과열지구 및 투기지역 지정, 양도소득세 및 다주택자 금융규제 강화 등을 골자로 하는 ‘8.2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다. 지난 6월 발표한 부동산 대책이 실효를 거두지 못한데 따른 후속 대응으로, 주택시장을 실수요자 중심으로 관리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내비쳤다.
전역이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서울은 1년 반 만에 아파트 매매가가 하락세로 돌아섰고, 거래량도 급감했다. 다른 지역으로의 '풍선효과'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지 않다. 지난달 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액은 6조6700억원으로 올해 들어 가장 컸지만, 이달부터는 부동산 거래가 위축된 영향으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점쳐진다.
지금까진 부동산 가격 상승 기류에 편승해 갭(Gap)투자에 나서는 개인들이 많았으나 앞으론 이러한 모습도 위축될 전망이다. 당장 신규 투자도 어렵지만 기대 차익도 줄어든다. 정부가 8.2 대책마저 효과가 없을 경우 더 강력한 규제안을 내놓겠다고 예고한 터라 실수요가 아닌 투자 목적의 부동산 보유는 더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꾸준히 상승하던 주식 시장도 최근 주춤하다. 북한의 잇따른 도발, 법인세 인상을 담은 정부의 세법개정안 발표 등 투자심리를 위축시키는 사건이 많았다. 개인들은 코스피 지수가 2500을 향하는 상황에서도 순매도세를 보이기도 했다. 코스피 지수 하락으로 신용거래융자 규모 역시 덩달아 축소되고 있다. 자산운용사들은 주식 운용 전략 수립에 애를 먹는 모습이다.
금융투자기관 관계자는 “중장기 계획에 따라 자산을 배분하는 기관과 달리 개인들은 시장 변수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며 “부동산 투자가 어려워지고 주식 시장의 변동성도 커진 상황이라 개인들의 투자 심리가 채권 등 다른 대상으로 옮겨갈 가능성이 커졌다”고 말했다.
-
개인의 채권 거래 규모는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개인들의 채권 총거래 규모는 3조427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조4937억원)에 비해 1조원 가까이 늘었다.
상대적으로 많이 오른 주식이나 금리가 낮은 예금 등에 비하면 위험도는 낮으면서 수익성은 높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최소 투자규모가 1억원 이상인 경우에도 무리 없이 개인자산가의 자금을 모으는 경우도 나타났다. 앞으로도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한 자산운용사 채권운용 담당자는 “지금까지 개인의 채권투자 증가는 8.2 대책과는 무관하지만, 개인들의 투심 이동은 후행적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채권 투자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변수는 있다. 지정학적 부담 요인은 여전하고 정부는 기준금리를 원하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다. 한국은행에서도 단기 수익 추구 목적의 자금 쏠림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시장 금리 상승 시 채권 가치가 줄기 때문에 개인들은 단기로 채권에 투자하기에 부담을 느낄 수 있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7년 08월 13일 07: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