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창재 회장이 가로막은 것으로 알려져
경영의 주도권 FI에 넘어갈까 우려 때문이란 해석
-
교보생명이 상장(IPO) 문턱에서 주저하고 있다. 벌써 자본확충 컨설팅만 두번째다. 신창재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이 IPO를 미루기 위함이란 평가까지 나온다.
그럼에도 재무적투자자(FI)들의 압박이 거세지고 있어 마냥 IPO를 미룰 수 만은 없을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교보생명은 지난달 IPO 주관사 선정작업에 나서려고 했으나, 돌연 계획을 취소했다. 지난 7월 해외에서 발행한 신종자본증권 주관업무를 맡은 바 있는 노무라증권,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 JP모간, UBS 등이 IPO 주관사 후보로 거론되던 터였다.
현재는 자본확충 컨설팅을 위해 씨티글로벌마켓증권, JP모간 등 외국계 증권사들과 해외 NDR(Non-deal roadshow)를 준비하고 있다. 자본확충의 필요성 및 해외투자 수요를 확인하기 위함이란 명분이지만 이미 한 차례 관련 컨설팅이 진행된 바 있어 실효성에 의문이 많다.
이를 놓고 투자금융(IB)업계에선 교보생명 경영진들이 IPO를 주저하고 있다는 말들이 나오고 있다. 재무적투자자(FI)들의 IPO 요구는 거세지고 있으나, 행여 경영권의 문제가 생길까 우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주관사 선정 작업도 막판에 신 회장이 막은 것으로 전해진다.
-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신 회장을 비롯한 주요 경영진들이 IPO는 최후의 수단으로 생각하고 있다”라며 “경영권과 직결된 문제라 다시 한번 고민하는 것으로 안다”라고 말했다.
교보생명의 지분구조는 신창재 회장이 39%의 경영권 지분을 가지고, 나머지 지분 대부분을 FI들이 나눠가지고 있다. 이미 FI들의 지분율이 상당히 높은 상황에서 IPO 시 신 회장의 추가적인 지분 희석이 예상된다. IPO의 목적이 IFRS17 도입에 따른 자본확충이란 점에서 구주매출로만 진행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다 보니 신 회장이 IPO에 상당한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현 경영진은 경영의 주도권이 FI로 넘어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투자금 회수란 FI들의 본질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선 IPO 시 회사 가치를 끌어올리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한 FI들의 경영참여는 이전보다 늘어날 수 밖에 없다. 벌써부터 주관사단이 FI들의 경영참여의 통로로 활용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러다 보니 경영진은 IPO를 망설이고 그 사이 FI의 불만은 점점 쌓이고 있다. FI들은 지난달 5억달러 해외 신종자본증권 발행에서 보듯 이미 해외의 투자수요는 확인된 만큼 적극적으로 IPO에 나설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간 교보생명은 시장 상황상 제대로 된 가치를 인정받기 힘들다는 점을 이유로 IPO에 소극적인 자세를 취해왔다.
한 투자사 관계자는 “5억달러 신종자본증권은 최초 제시한 금리보다 55bp 낮은 수준에서 금리가 결정될 만큼 해외 투자수요 확보에 성공했다”라며 “교보생명도 더 이상 IPO를 미룰 명분이 없어졌다”라고 말했다.
투자금융 업계에선 결국 교보생명이 IPO에 나설 것으로 점치고 있다. 이미 한 차례 의뢰한 자본확충 컨설팅 결과에서도 신종자본증권, IPO 말고는 이렇다 할 대안이 없다고 밝혀진 바 있다. 이렇게 시간을 끌다가는 자칫 FI들의 원성만 더 살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10년을 넘게 교보생명에 투자한 FI도 있을 만큼 이제 FI들의 인내심에도 한계가 오고 있다”라며 “건전성 강화란 숙제도 주어진 만큼 경영권 보호를 위해 언제까지 IPO를 미룰 수는 없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7년 09월 22일 16:54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