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전 관계없이 태양광 투자 확대 나선 한화
"이해는 하지만…" 속내 복잡한 FI들, 회수 보장안 요구에 '집중'
-
한화종합화학 소수지분 인수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다. 정작 새 손님을 맞이할 한화는 큰 관심을 두지 않은 채 한화종합화학을 활용한 태양광 확장 계획을 진행 중이다. 인수 후보들로선 성과가 불투명한 태양광 투자가 달갑지 않을 수 있지만 한화로부터 이를 견제할 수단이나 투자회수 방안을 확보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베인캐피탈과 스틱인베스트먼트-스톤브릿지-IBK투자증권 컨소시엄, 한국투자파트너스, 외국계 투자자 등 4곳의후보들이 한화종합화학 실사를 진행하고 있다. 거래 대상은 삼성물산과 삼성SDI가 보유한 한화종합화학 지분 총 24.1%다. 매각 본입찰은 내달 설 명절 이후 치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자 교체가 눈앞에 다가왔지만 한화측은 이와 관계없이 태양광 확장에 집중하고 있다. 한화종합화학은 지난해 설립한 한화솔라파워와 한화솔라파워글로벌 자회사 두 곳에 올해에만 총 2500억원을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한화솔라파워는 국내에서, 한화솔라파워글로벌은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해외 태양광발전 사업을 꾸리는 '투 트랙'을 준비 중이다.
한화종합화학을 지켜보는 지분 인수 후보들의 속내는 복잡하다. 현재 한화종합화학의 실적 대부분을 자회사 한화토탈로부터의 배당으로 채우고 있다. 자회사의 호황이 꺾일 시기에 대비한 투자가 있어야 한다는 점엔 후보들도 공감하는 눈치지만, 그 대상이 ‘태양광’뿐인 점에는 평가가 갈린다.
업계에선 한화그룹이 당분간 한화종합화학의 재원을 꾸준히 태양광 사업에 쏟을 것으로 내다본다. 태양광 사업이 그룹뿐 아니라 사실상 김동관 한화큐셀 전무의 승계를 위한 핵심 성과로 확대된 만큼 업황과 관계없이 지원은 이어질 것이란 시각이다. 한화종합화학은 지난 2016년 한화큐셀코리아에 2500억원을 출자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한화솔라파워에 1100억원 가까운 자금을 투입했다.
최근 들어 미국 트럼프 정부가 국내 태양광 업체를 대상으로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를 발동해 직격탄을 맞았지만 오히려 추가 투자는 시급해졌다. 한화는 태양광 셀·모듈 생산 분야에서 글로벌시장 선두 그룹인 만큼 이번 조치로 인한 타격도 만만치 않다. 대안으로 최종 소비처인 태양광 발전소 사업을 직접 꾸려 그룹에서 자체 생산하는 셀과 모듈을 투입해 타격을 최소화 하는 방안을 구상 중이다.
재무적투자자(FI) 입장에선 한화의 행보가 달갑지만은 않다. 태양광 발전소 운영은 초기단계에서 설치비를 비롯한 큰 폭의 투자비가 들지만 향후 10년 이상 긴 기간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하는 사업이다. 투자기간 내 수익극대화를 희망하는 FI 성향상 투자 시기와 단기 실적 간 ‘엇박자’에 마주할 수 있다.
한화그룹에 정통한 관계자는 “현재 태양광 업황에 대한 우려로 한화가 금융권에서 외부 차입을 늘리긴 어렵고, 기존 발전 사업을 꾸려온 한화에너지의 재무부담도 크다보니 당분간 여력이 있는 한화종합화학이 자회사에 현금을 투입해 확장을 진행할 것 같다”며 "김동관 전무의 측근인 민구 한화큐셀 전무도 새해부터 태양광 분야 중책을 맡아 미국 현지에서 사업 확대에 매진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결국 인수 후보들로선 불확실성을 완화할 수 있는 회수 보장책이 필요한데, 삼성그룹과 맺은 수준의 주주간계약을 바라는 분위기다. 두 그룹은 ▲한화종합화학 기업공개(IPO) 시 삼성그룹 잔여지분 매출 우선권 ▲6년 내 IPO 미이행 시 삼성그룹은 한화그룹에 풋옵션 행사(한화그룹은 콜옵션) ▲삼성그룹 잔여지분 매각 시 한화그룹 우선매수청구권 ▲한화그룹의 한화종합화학 매각 시 한화그룹 동반매각권(삼성그룹 동반매각청구권) 등에 합의한 바 있다.
한화그룹 내부에선 시장에서 거론되는 매각 금액이 너무 높다고 보고 있어 우선매수청구권을 쓸 가능성이 크지 않다. 소수주주만 달라질 뿐이어서 기존 삼성에 보장한 조건 승계도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예를 들어 IPO 기한 책정에서 새롭게 6년을 세지 않고 삼성이 보유했던 잔여기간 중 추진하는 방식 등이다.
그러나 FI가 이사 선임이나 경영 참여는 요구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삼성그룹엔 이사 1인 선임권이 주어졌지만 FI에까지 경영 참여 문을 열어줄 필요는 없는 상황이다. 일부 후보 사이에선 회사의 성장가능성보다는 정교한 법적 위험회피조항(Downside-protection) 확보에 신경을 기울이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8년 01월 28일 09: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