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모 커 국내보다 해외에 기회
-
올해 글로벌 사모펀드(PEF)들의 대기업 계열사 소수지분 인수 거래가 늘 것으로 보인다. 정부 규제 강화나 그룹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서 백기사가 필요해질 가능성이 크다. 대기업 관련 거래의 규모를 감안하면 국내 운용사보다 글로벌 PEF에 기회가 많이 돌아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
지난해 한국 시장에선 두둑한 자금을 가진 글로벌·리즈널 PEF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경남에너지(블랙록 등), LS오토모티브 사업부(KKR), 락앤락(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 모림(TPG) 등 굵직한 경영권 인수 거래가 이뤄졌다. 베인캐피탈은 카버코리아를 팔아 큰 수익을 거뒀다. ADT캡스와 CJ헬스케어 인수전에도 글로벌 PEF들의 각축이 벌어졌다.
글로벌 PEF는 이처럼 기업을 사서 가치를 높여 판다는 원칙에 충실한 바이아웃 전략을 펴는 경우가 많았는데 최근엔 소수지분 투자, 특히 대기업 계열사와 관련한 거래도 빈번해지는 모습이다.
지난해 어피니티가 컨소시엄을 이뤄 현대카드에 투자했다. 한화S&C SI사업 M&A에선 CVC캐피탈과 PAG가 얼굴을 비췄다. 올해는 앵커에쿼티파트너스가 이랜드월드에 투자했고 어피니티가 신세계와 대규모 투자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한화종합화학 소수지분 인수전엔 베인캐피탈이 참여한 상태다.
한동안 한국을 떠나있던 TPG가 카카오모빌리티 투자에 성공하며 돌아온 것이 다른 글로벌 PEF에도 영감을 줬다는 평가다. 대기업과 한번 손을 잡으면 다음 거래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고, 모르는 산업에 곧바로 뛰어들었을 때의 위험성도 줄일 수 있다.
우리나라는 바이오, 제약, 화장품 등 중소기업이 하는 유망 산업이 있지만, 해외에서도 관심을 가질 우량 기업들은 대부분 대기업 집단 테두리 안에 있다. 웬만한 알짜 기업은 ‘빅딜’ 수준의 결단이 아니고선 경영권 거래로 나오기 쉽지 않다.
이 때문에 대기업이 재무적투자자(FI)에 일부 지분을 넘기는 경우만 간혹 있었는데, 이러한 형태의 거래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M&A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PEF들이 소수지분 투자를 선호하지는 않지만 국내 대기업이 경영권을 쉽게 놓지 않는 것도 잘 알고 있다”며 “유동성이 풍부한 시장이라 경영권을 거두지 않고도 수익화할 수 있는 방법이 많고 한국 시장이 대형 거래가 심심찮게 나오는 곳이라 차선책으로 소수지분 투자도 늘리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정부는 꾸준히 대기업들에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를 주문하고 있다. 많은 기업들이 지주회사 체제를 정비하거나 순환출자 고리를 해소하는 등 움직임에 나섰다. 주로 그룹 안에서 정리가 이뤄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주력 사업이 아니거나 내부 처리가 곤란하다면 지분이 매물로 나올 가능성도 있다.
총수일가 사익 편취(일감몰아주기) 규제 강화도 대기업발 소수지분 거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달 업무보고에서 일감몰아주기 규제 대상 상장기업 지분 요건을 현행 30%에서 20%로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분 30% 아래로만 간신히 맞춰둔 기업들은 10%의 지분을 추가로 내다 팔아야 한다. 오너가 직접 챙기는 기업들이기 때문에 잠시 맡아둘 백기사를 원할 수 있다.
지분 매각이 아니라 대기업이 새로운 사업을 물색하는 과정에서도 글로벌 PEF에 소수지분을 인수할 기회가 주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PEF들도 대기업 관련 거래에 참여하길 바라지만 자금력 있는 글로벌 PEF가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기업이 내놓는 계열사 주식은 소수지분이라도 그 규모가 수천억원, 혹은 조단위에 달할 가능성이 크다. 블라인드펀드 규모가 커 봐야 수천억원대인 국내 PEF들이 이런 거래에 참여하긴 쉽지 않다. 스틱인베스트먼트가 지난해 한화S&C 사업부 인수전에서 승리하긴 했으나 직접 투자한 규모는 1500억원이었다.
PEF 업계 관계자는 “카카오모빌리티에 투자한 TPG의 그로쓰캐피탈 펀드, 한화종합화학 인수를 추진하는 베인캐피탈 크레딧펀드 등 대형 글로벌 PEF는 바이아웃 외에도 다양한 투자테마의 펀드들을 가지고 있다”며 “국내 PEF들이 한 거래에 수천억원을 쏟아 붓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국내 주요 PEF들은 국민연금 의존도가 높다. PEF가 기피되는 산업군에 속한 기업에 투자하거나 투자한 기업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면 운용사는 물론 국민연금에까지 충격파가 미친다. 국민연금은 국정농단 사태로 삼성그룹과 엮이며 큰 홍역을 앓았다. 국민연금의 주주권 강화 움직임도 있지만 기업에 과도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맞느냐는 반론도 있다. 삼성그룹 사례를 지켜본 대기업이나 국민연금의 눈치를 봐야하는 PEF나 피차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자연스레 국내 공적 연기금 자금을 받지 않은 글로벌 PEF와 대기업간 연합이 잦아질 것으로 보인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8년 02월 12일 07: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