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대출 비중 높은 지방은행 자산건전성 위험 증가
수도권 성장 한계느낀 시중은행, 지방 중기대출 늘려가
-
지방은행과 시중은행의 자산건전성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 해운 등 주요 거점지방의 산업 침체가 계속되는 가운데 시중은행이 대출 규제로 수도권을 벗어나 기업대출을 늘리며 지방은행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을 비롯한 지방은행의 시중은행과의 자산건전성 격차는 계속해서 커지고 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은행의 총 여신 중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이 차지하는 비율로 은행의 건전성 지표 중 하나다. 2015년 시중은행(1.12%)과 지방은행(1.22%)의 고정이하여신비율 격차는 0.1%포인트였으나 2017년 말 0.35%포인트까지 벌어졌다. 2018년 9월엔 0.43%포인트로 늘어났다.
지난해 상반기 말 기준 부산, 경남, 광주, 전북, 대구, 제주은행 등 6개 지방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03%를 기록했다. 전년 같은 기간보다 0.02%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KB국민, 신한, 우리, KEB하나, SC제일, 한국시티은행 등 국내 6대 주요 시중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55%였다. 전년 같은 기간보다 0.15%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부실위험 자산에 대한 대손충당금과 자본을 통한 손실흡수능력 격차도 벌어지고 있다. 지방은행의 자기자본 대비 순요주의이하여신 비율은 지난해 9월 12.9%로(시중은행 6.1%) 단기간 내 격차 축소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과의 차이는 커지고 있지만 지표만 놓고 봤을 때 지방은행들의 자산건전성이 당장 위험한 수준은 아니다. 다만 지방은행의 여신 포트폴리오 특성을 고려하면 자산건전성 저하 압력은 지속될 것이란 분석이다.
지방은행은 중소기업대출 및 개인사업자대출 비중이 높고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낮다.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여신구성을 보면 중소기업대출 비중은 각각 16.3%와 33.2%이다. 주택담보대출 비중은 각각 34.7%, 25.0%다. 이렇다보니 지방은행은 조선, 해운, 건설, 자동차 등 거점지역의 산업의 침체와 더불어 기업대출 대손비용 부담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와 부동산대책 시행으로 인한 주택담보대출 성장 둔화까지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2017년 3월 34%였던 지방은행의 주담대 대출성장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지난해 9월엔 2%를 기록했다.
4대 주요 은행 등 시중은행은 대기업, 중소기업, 개인신용대출 등의 영업 확대를 통해 성장성을 유지하고 있지만 지방은행은 대체 성장원 발굴에 제약이 있는 상황이다. 가계신용대출 비중이 크지 않은 지방은행은 기업대출이 지속적으로 부진해 성장에 제동이 걸리고 있다.
시중 은행들이 조달비용과 자본비율 여유를 바탕으로 지방에서 공격적인 영업에 나서고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은행업 관계자는 “주담대가 막힌 시중은행들이 기업 여신을 늘리는 전략을 쓰면서 수도권을 벗어나 지방 중소기업에 우대 금리를 준다든지 해서 경쟁우위를 확보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2013년 57.1%였던 지방은행의 거점지역 내 중소기업대출 점유율은 2018년 9월 52.8%까지 하락했다.
신용평가업 관계자는 “수도권과 비교했을 때 지방은행의 거점지역 주요 산업들 업황 부진이 계속되면서 향후 지방은행과 시중은행의 양극화는 심화되는 방향으로 갈 전망”이라며 “조선 같은 경우 사이클 회복 단계로 접어들었다도 하지만 본격적인 회복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되는 등 지방 거점 산업들은 잠재 부실 위험이 계속 남아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9년 01월 29일 15:22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