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력인 해수담수화 사업도 상시 매물
발목 잡던 두산건설, 대규모 유증 발표
두산중공업 수천억 출자 불가피
-
두산중공업이 미래의 성장동력이라 여기던 사업마저 내놓을 처지에 놓였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았고 수주가 줄면서 자체사업은 위기에 놓였다. 재무적 부담은 늘어가는데 금융권을 통한 투자 유치도 여의치 않다. 여기에 수년간 두산중공업의 발목을 잡아온 두산건설의 재무 리스크가 다시 불거지면서 주력사업은 물론이고 신사업까지 내놓는 상황까지 내몰렸다는 평가다.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두산중공업은 지난해부터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을 매각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매각 대상은 두산중공업 내 사업부와 미국 ESS 자회사 '두산그리드텍(Doosan GridTech Inc.') 지분이다.
ESS 사업은 두산중공업이 2015년 9월에 야심 차게 진출을 선언한 신사업 분야다. 사업진출 불과 몇 달 만에 '스마트 그리드 보급 지원사업 ESS 주관사업자'로 선정됐고, 단일 건물에 설치되는 최대규모의 ESS 수주를 따냈다. 이듬해 ESS 소프트웨어 원천기술을 보유한 미국 '원에너지시스템즈(1Energy Systems)'를 인수해 두산그리드텍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두산그리드텍 인수 당시 정지택 전 두산중공업 부회장은 "글로벌 ESS 시장은 매년 20% 이상 성장하는 사업이다. ICT 관련 사업과 ESS 등에서 신사업 기회를 발굴하고 사업화를 추진해 미래성장동력으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선언했을 만큼 사업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나타낸 바 있다.
결국 ESS 사업은 가시화 한 성과도 내보지 못한 채 시장진출 3년 만에 매각에 나서게 됐다. 현재는 그나마 자금 여력이 있는 계열사가 인수하거나 외부에 매각하는 방안 모두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 두산중공업의 주력으로 분류되는 해수담수화 사업부도 상시 매물로 취급 받는 상황이다.
IB 업계 한 관계자는 "두산중공업의 해수담수화 사업은 인수자만 있다면 언제든 팔릴 수 있는 매물로 분류돼 있고, ESS 사업 부문 또한 그룹 밖에서 원매자를 찾을 가능성도 있다"며 "회사의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의 일환으로 볼 수도 있지만, 돈을 벌만한 사업이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사실상 재무 부담을 떨쳐내기 위한 최후의 방안이지 않을까 싶다"고 했다.
-
두산중공업의 실적은 수년째 하락세다. 2016년 9조원에 달하던 신규수주는 지난해 4조6400억원으로 절반가량 줄었다. 수주잔고의 감소폭은 이보다 적지만 신규수주가 줄어들었다 보니 향후에 지금과 같은 잔고를 유지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자체적인 사업 환경이 악화하는 것을 차치하고, 그룹의 중간지주회사로서 계열사 지원에 대한 부담은 더 커졌다. 두산중공업이 지분 76%를 보유한 두산건설이 대표적이다.
2017년 590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던 두산건설은 지난해 520억원의 영업적자를, 552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순손실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자기자본의 57% 수준이다. 부채비율은 2017년 말 194.7%에서 지난해 말 552.5%까지 치솟았다. 이병화 대표이사 사장을 비롯한 두산건설 임원진은 현재 회사에 모두 사표를 제출한 상태다.
유효 신용등급 BB인 두산건설은 직접적인 자금조달이 더 이상 어렵다. 재무적 부담이 가중한 두산건설은 결국 4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검토 중이다. 유상증자가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두산중공업이 부담해야 하는 자금만 3000억원에 달한다. 두산중공업의 두산건설 지원 가능성에 대한 재무적 부담을 끊임 없이 지적해오던 국내 3대 신용평가사들은 결국 이달 중순에 ㈜두산과 두산중공업, 두산건설을 신용등급 부정적 검토 또는 하향 검토 대상에 등재했다.
두산중공업은 나름의 자구책을 세우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다.
지난해 사업환경이 좋은 두산밥캣의 지분 10%를 시장에 매각해 현금화 했고, 두산엔진의 사업부문도 외부로 매각했다. 사업적 돌파구 마련을 위해 지난해 말엔 영국 에너지 장비·솔루션 업체인 에토스에너지(Ethos energy)의 경영권을 인수를 추진, 실사단을 파견했으나 결국 성사하지 못했다. 거래 금액만 3000억원 이상으로 거론됐는데 이를 위해 국내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투자를 유치하려 했으나 결국 실패했다.
그룹 차원에서도 외부 투자를 받기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이미 다수의 국내 주요 금융기관들은 두산그룹에 대한 대출 한도가 차 있는 상황에서 추가적인 지원은 사실상 어렵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두산인프라코어차이나(DICC)와 관련해 한때는 한배를 탔던 사모펀드(PEF)들과 대법원에서 소송을 진행 중이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9년 02월 20일 14:13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