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금융지주 회장 임기 코 앞...후계구도는 안갯 속
2015년엔 모범규준 확립...2019년엔 법제화 등 계속될 듯
-
국내 대형 금융지주들이 2015년에 이어 다시 한 번 지배구조 격변기를 맞이하게 됐다. 금융회사 지배구조법 개정안은 국회 통과를 목전에 두고 있고, 금융감독원은 최근 지배구조 전담 감독조직을 출범시켰다.
대부분의 금융지주 회장 임기가 올해에서 내년 사이 만료된다. 규칙이 바뀌는 와중에 판을 새로 짜야하고, 사람도 관리해야 하는 상황이다. 채용비리 재판이라는 예측할 수 없는 변수도 내년까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금감원은 이달 초 일반은행검사국 내 지배구조전담반을 새로 설치했다. 전담반은 은행 및 대형금융지주사의 지배구조 및 최고경영자 승계절차를 상시 감시하는 부서다. 전담반에는 지난해 은행권 채용비리 조사를 담당했던 핵심 인력들이 포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 더해 지배구조와 내부통제를 전감하는 '전문검사역제'도입도 검토하고 있다.
금감원이 올들어 주요 금융지주 지배구조 감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까닭은 올해 지배구조 이슈가 크게 부각될 거라는 판단 때문으로 풀이된다.
2014년 'KB사태' 이후 승계 절차를 내부 규정에 명시하고 이사회에서 지배구조 내부규범을 만들어 공시하도록 하는 '2015년 체제'는 어느정도 정착됐다는 평가가 많다. 이제 이를 법제화하고, 내부규범 내 세부 사안을 조정하는 작업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것이다.
현재 ▲금융회사 주요 임원 선임때 당사자는 참석을 금지하고 ▲사외이사 후보 추천 과정에서 대표이사의 의결권 행사를 금지하며 ▲사외이사의 순차적 교체를 의무화하고 ▲퇴임 3년 이내의 관계회사 임원은 사외이사로 선임할 수 없도록 규정한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지배구조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논의 중이다. 이르면 상반기 내 통과 및 시행이 예상되고 있다.
이 법이 통과되면 금융회사에서 이른바 '셀프연임'이 불가능해진다. 현재 사외이사진의 임기와 자격요건도 재검토할 필요성이 생긴다. 금융지주 내 사외이사 혹은 회장추천위원회와 자회사 최고경영자추천위원회 위원진 역시 개편해야 한다. 현재 대부분의 인사 관련 위원회엔 금융지주 회장이 대표이사 자격으로 참여하고 있다.
여기에 주요 금융지주들은 예외없이 향후 1~2년 이내에 최고경영자 임기 만료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있다. 제도와 더불어 사람도 동시에 바꿔야 하는 상황이다.
당장 우리금융지주 손태승 회장의 임기가 1년 뒤인 내년 3월 만료된다. 올초 지주를 출범시키며 손 회장에게 행장과 회장을 겸임하도록 한 우리금융지주 이사회는 1년의 시간을 두고 회장 후보를 물색하기로 했다.
우리금융지주는 연초 장동우 사외이사를 임원후보추천위원장으로 임명하고 차기 회장 후보군을 관리하고 있다. 지난해 말 회장 후보로 물망에 올랐던 인사들에 더해 내외부 후보들을 검토하는 중이다. 손 회장의 회장 임기는 내년 3월까지지만 은행장 임기는 내후년까지로 2년 남아있어 이를 어떻게 조율할지도 이슈다.
신한금융지주는 올해 연말 조용병 회장의 연임 여부를 가려야 한다. 일단 지배구조 내부규범상 연임에 제한은 없다. 신한금융은 회장의 경우 첫 선임시 만 67세 이하, 연임시 만 70세 이하의 나이 제한을 두고 있다. 조 회장은 1957년생으로 현재 만 62세다.
현재 채용비리 관련 재판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변수로 꼽힌다. 지난해 11월 첫 재판이 열린 이후 수 차례 재판이 진행됐지만, 진행 속도가 느려 연내 결론이 날지는 미지수다. 최근엔 구속됐던 전 신한은행 인사부장에게 보석 결정이 내려지기도 했다.
문제는 최근 금감원이 채용비리 재판을 받고 있는 함영주 KEB하나은행장의 연임 이슈에 적극적으로 개입해 이를 무산시켰다는 점이다. 금감원이 조 회장에게 같은 잣대를 적용, 압력을 가한다면 큰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함 은행장이 연임을 포기한 하나금융지주도 2021년 만 69세로 회장 임기가 만료되는 김정태 회장의 후계 구도에 이상 기류가 생겼다는 평가다. 급격히 세대교체가 이뤄지며 아직 뚜렷한 차기 회장 후보군이 드러나지 않고 있다. 하나금융은 아직 시간이 있는만큼 차분히 승계프로그램을 가동하겠다는 입장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지금 지배구조상 큰 변수가 없는 곳은 채용비리 변수가 없는데다 경영승계 후보자들이 착실히 성장하고 있는 KB금융 정도일 것"이라면서도 "2014년 윤 회장과 함께 임기를 시작한 사외이사들의 임기 다변화와 순차 교체는 여전히 신경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9년 03월 18일 07: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