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 핫플레이스였던 한국證
“공격투자 부작용 반드시 고려해야…" 우려도
코웨이 사태로 공격투자 기조 변화에 촉각
-
한국투자증권은 사모펀드(PEF) 운용사들이 가장 먼저 찾는 금융사 중 하나였다. 발행어음 라이선스를 보유한 유일한 독립계 증권사로서 과감한 투자를 이어갔고, 최근까지도 블라인드펀드에 자금을 출자하는 등 활발한 투자를 진행했다.
시장의 우려에 크게 벗어나지 않게 코웨이 경영권 매각은 현실화 했다. 그 중심엔 웅진그룹에 인수자금 대부분을 제공한 한국투자증권이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발행어음 발행을 통해 확보한 넘치는 자금을 쏟아부었고, 투자의 성과는 아직 평가하기는 이르다.
다만 이번 사태로 한국투자증권의 과감한 투자 기조가 변화할 가능성에 PEF 운용사들도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단일 펀드로 8000억원 이상 블라인드펀드 결성을 추진하고 있는 국내 한 PEF 운용사는 한국투자증권으로부터 300억원의 출자를 확약받았다. 2000억원대 블라인드펀드를 결성해 운용하고 있는 글로벌 PEF 운용사도 지난해 한국투자증권이 100억원의 출자자로 참여했다. 이 외에도 대규모 블라인드펀드 결성을 추진 중인 대형 운용사도 메인(앵커) 투자자가 확정되는대로 한국투자증권을 통해 매칭 자금을 받을 계획을 갖고 있었다.
최근까지 한국투자증권이 PEF 자금집행을 늘린 것은 5조1000억원에 달하는 발행어음 덕분이었다. 발행어음을 통해 융통할 수 있는 자금은 급격하게 늘어났는데 비교적 높은 수익률을 쫒다보니 시선이 자연스레 PEF 시장으로 향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
은행을 비롯한 각 계열사의 눈치를 덜 보는 독립계 증권사이다보니 금융당국의 규제에서 비교적 자유롭다는 점도 공격적인 투자가 가능했던 이유로 손꼽힌다. 미래에셋대우가 발행어음 시장에 뛰어들 채비를 하고 있지만 독립계 증권사로선 아직까지 한국투자증권이 유일하다.
PEF 업계 한 관계자는 “은행이 포함된 금융지주사들의 경우 각종 규제 때문에 한국투자증권과 같이 발행어음을 통한 과감한 투자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크기를 막론하고 펀드레이징을 추진하는 대부분의 PEF 운용사들이 한국투자증권의 기조를 잘 알고 있기 떄문에 LP로 참여시키기 위해 많이 찾아갔다”고 말했다.
한국투자증권 입장에서도 GP와 LP로 맺어진 돈독한 관계를 십분 활용할 수 있었다. 수백억원 남짓의 출자로 포트폴리오 기업의 기업공개(IPO), 발행업무, 수천억원에서 많게는 조단위 의 인수금융까지 주관사 지위를 기대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PEF에 대한 자금집행 속도는 타사에 비해 굉장히 빨랐던 것으로 전해진다. 통상 금융기관부터 자금을 받기 위해 논의 단계서부터 투자심의위원회를 거치기까지 걸리는 기간이 최소 3주에서 최대 2~3달까지 걸린다.
PEF 업계 한 관계자는 “미래에셋대우로부터 자금을 받기 위해 최대 2달까지 걸리던 투자심의 기간이 한국투자증권에선 3주가 채 걸리지 않았다”며 “발행어음 규모에 비하면 수백억원대 자금집행 정도는 큰 무리가 아니라는 판단이 깔려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짧아진 내부 투자심의, 과감하고 공격적인 투자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컸던 것도 사실이다.
투자은행(IB) 업계 한 관계자는 “지난 94년~96년도에 국내 증권사에 외화가 넘쳐나 금융당국에서 해외투자를 자기자본 5%까지 허용하고 국내 증권사들이 뛰어들어 대규모 손실을 기록한 사례가 있다”며 “LP투자, 브로커리지, M&A 인수금융 등 갑자기 급격하게 늘어난 자금을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모습이 그 당시와 크게 다르지 않기때문에 한국투자증권의 리스크관리 능력을 눈여겨 봐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발행어음을 통한 투자의 정점은 코웨이 경영권 인수였다. 웅진그룹이 앞단에 서긴 했지만, 인수자금 대부분은 한국투자증권이 출자했다. 시장의 우려는 현실화 했고 코웨이는 결국 경영권 매각을 추진 중이다. 한국투자증권이 인수자금을 댄지 불과 3개월만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웅진그룹의 코웨이 인수전에서 인수금융 1조1000억원, 전환사채(CB) 투자금 5000억원에 대해 투자 확약했다. 결과적으로는 참여가 예상됐던 스틱인베스트먼트의 투자금 모집은 무산됐다. 부담은 오롯이 한국투자증권 몫이 됐다.
코웨이 경영권 매각에 주관사를 맡고는 있지만 이미 높은 투자 단가(주당 10만3000원)에 하향곡선을 그리기 시작한 코웨이의 현재 주가는 부담이다. 코웨이의 높은 시장 점유율을 감안하면 동종 업계의 인수가능성을 높게 보기는 어렵고, 급하게 나온 매물이기 때문에 원매자들이 인수에 앞장설 유인도 크지 않다.
따라서 IB 또는 PEF 업계의 관심은 한국투자증권이 ‘기존의 공격적인 투자 기조를 과연 이어갈 수 있을 것인가’에 모아지고 있다. 코웨이 매각의 성사 여부는 발행어음으로 공격적인 투자를 늘렸던 한국투자증권 1차 성적표가 될 전망이다. 코웨이 투자를 통한 수익 창출 또는 손실의 유무를 차치하고도 대내외 평판 리스크는 여전히 남아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9년 07월 03일 16:34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