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3월엔 340억으로 이자 수익 ‘쑥’
금융지원 8000억…인수후보 의무로 8000억 이상 ‘신주 인수’
안정적 회수구조 별개로 인수금융도 주선 추진
연 3%대 금리…5000억 빌려주면 年 150억씩
-
아시아나항공 경영권 매각을 사실상 주도하고 있는 산업은행이 이번 매각으로 수백억원대의 수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자금 지원 성격으로 출자한 50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에 대해선 이자를 수취하고 있다. 여기에 인수후보를 대상으로 인수금융 제공까지 추진하고 있다보니 투자업계에서 부정적인 반응이 적지 않게 나오고 있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지난 4월과 6월, 두차례에 걸쳐 아시아나항공이 발행하는 영구 전환사채 총 5000억원을 인수했다. 2건의 전환사채 모두 만기는 2049년까지로 영구채 성격을 띠고 있다. 해당 영구채는 매년 7.2%의 금리에 2년마다 이자조정(스텝업) 조항이 포함돼 있다.
산업은행은 아시아나항공으로부터 3개월 단위로 이자를 수취하고 있다. 현재까지 약 90억원의 이자가 발생해 받았다. 또 10월 말 4000억원에 대한 3개월 단위 이자(72억원) 지급기일이 도래한다. 아시아나항공 매각이 계속 진행될 것으로 보이는 올해 연말 또는 내년 초까지는 이자 수익이 발생할 전망이다.
올 12월까지 예상되는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의 이자 수익은 총 180억원이다.
아시아나항공은 해당 영구채에 대해 ▲발행 후 24개월이 경과한 날 또는 ▲최대주주가 변경되는 경우에 한해 중도상환권(Call-option)을 행사할 수 있다. 아시아나항공의 매각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는 점을 가정해도, 본계약 이후 국토교통부 승인, 대주주 변경 승인까지 수개월은 걸릴 것으로 보인다.
결국 내년 4월 말까지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영구채 인수로 벌어들이는 수익은 300억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은행은 지난 주 인수후보자들에 배포한 본입찰 안내서에 “대상 신주 인수 대금 총액의 최저한도를 금융지원 실행금액인 8000억원으로 설정하였다”고 명시했다. 사실상 채권단의 유동성 공급 자금을 인수후보로부터 모두 돌려받겠다는 뜻으로 해석되고 있다.
신주 발행 규모가 최소 8000억원으로 확정돼 통보되면서 인수후보들의 셈법도 복잡해졌다. 현재 금호산업이 보유한 아시아나항공의 구주의 시장가격은 약 4000억원, 경영권 프리미엄을 포함하면 최소 1조5000억원에 가까운 자금이 필요하다.
-
금호그룹과 얽힌 이해관계와 무관하게 산업은행은 지원 자금의 안정적 회수 구조를 만들어 냈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다.
산업은행은 인수 후보들에 산업은행이 인수금융을 제공할 의사를 타진하고 있다. M&A와 인수금융 등 각 부서별 정보교류 차단장치(차이니즈월)가 마련돼 있다하더라도 실질적인 매각주체가 즉 인수후보자 선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산업은행이 직접 자금을 대겠다고 나서면서 이를 외면할 수 없는 인수후보들의 부담도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은행이 자금회수와 동시에 또 다른 대출을 일으키려는 움직임에 대해 냉정한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사실이다.
게다가 실제로 산업은행은 최근 인수금융 시장에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는 금융기관이기도하다. 산업금융채권(산금채) 발행으로 조달비용이 낮기 때문에 최근 주요 거래에서 국내 시중은행 및 증권사들보다 약 50bp(1bp=0.01%) 이상 낮은 금리 조건을 제시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주요 M&A 거래에서 산업은행이 적극적 행보를 보이면서 국내 주요 금융기관들이 인수금융 시장에서 설자리를 점점 잃어가는 시점이기도 하다.
아시아나항공의 매각 금액을 고려해 산업은행이 약 3%대 초반의 금리로 5000억원가량을 대출한다면 연간 150억원 이상의 추가 이자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투자은행(IB) 업계 한 관계자는 “산업은행이 일부 인수후보를 대상으로 인수금융 제공을 제안했다 "며 "해당 후보의 구체적인 자금 조달 구조는 아직 확정되진 않았으나 산업은행의 인수금융이 상당히 낮은 금리인 점을 고려하면 산은이 이번 거래에 자금 제공을 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산업은행은 최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를 통해 ▲수백조원 규모의 파생상품 판매와 수수료 수익 편승 ▲중소기업 대출 감소와 대기업 대상 대출 증가 ▲KDB인베스트먼트 설립을 통한 구조조정 업무 회피 등과 관련해 국회의원들의 질타를 받은 바 있다. 사실상 수익 극대화를 위해 국책은행으로서의 책무를 포기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9년 10월 21일 18:02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