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늘고 대체투자 중요성 커지면서 재개 요청
내년부터 사업 재개…사모펀드 시장 기대감 커
-
새마을금고중앙회가 내년부터 다시 블라인드펀드 출자에 나선다. 그 동안 프로젝트성 펀드 출자만 집행해왔으나 투자 관리가 어려웠고 수익률을 끌어올리는 데도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사모펀드(PEF) 운용사들은 내년부터 또 하나의 큰손 출자자(LP)를 맞게 됐다.
21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새마을금고는 내년부터 블라인드펀드 출자 사업을 재개하기로 확정했다. 현재 막바지 내부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주무관청인 행정안전부와는 조직 구성 및 출자 계획에 대한 사전 조율을 마쳤다. 조만간 출자 규모를 비롯한 세부 계획도 행정안전부에 보고할 전망이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행정안전부와 내부의 승인 절차가 마무리 되면 12월초 기자 간담회를 열어 대외적으로도 출자 계획을 알릴 예정으로 전해진다.
새마을금고는 2010년대 들어서는 블라인드펀드 출자를 하지 않았다. 글로벌 금융위기 후 국내 투자시장이 급격히 위축되며 투자 손실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는 감독 차원에서 블라인드펀드 출자를 하지 말라고 권고했다.
새마을금고는 블라인드펀드 출자 사업을 하지 않는 동안 프로젝트펀드 투자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웬만한 대형 거래에선 꼭 찾아야 하는 기관이 됐고, 중소형 거래에서는 핵심출자자 역할을 도맡았다. 최근만 해도 KCC의 모멘티브 인수, H&Q의 11번가 투자 등 대규모 거래에 이름을 올렸다.
프로젝트펀드의 큰 손으로 떠올랐지만 자산 운용엔 제약이 따랐다. 중앙회의 운용자산 규모는 늘고 대체투자의 중요성은 커지는데 매번 들어오는 투자건을 심사하고 승인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많은 건에 투자할 수 없다보니 개별 건에서의 투자 비중을 높일 수밖에 없었다. 큰 거래에선 수천억원을 투자하는 경우도 많았다.
새마을금고는 기회가 날 때마다 행정안전부에 블라인드펀드 출자 사업을 하게 해달라고 요청으나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했다. 정부가 높은 수익률보다는 운용의 안정성을 중시했기 때문이다.
분위기는 올해 들어 달라졌다. 투자환경이 급변하고, 모든 투자건을 일일이 살피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중앙회가 굴리는 자산은 60조원이 넘지만 대부분 채권에 투자돼 있다. 지역 금고에 돌려줘야 하는 금리가 2% 미만이라지만 채권 투자 수익률만으론 감당하기 버겁다. 시장 금리와 주가 변동성이 커진 상황에선 대체투자 비중을 늘릴 수밖에 없다.
외부에 자금을 맡길 필요성이 커지면서 정부는 블라인드펀드 출자를 허용하기로 했다. 특혜 시비를 피하기 위해 수시 출자보다는 통상적인 공모 절차(컨테스트)를 거칠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최근 새마을금고가 조직을 정비하고 관리·심사체계를 엄격히 하겠다면서 블라인드펀드 출자 허용을 요청해왔다”며 “금융감독원과 검토해서 출자 비중에 제한을 두는 방식으로 출자를 허용하기로 방침을 정했다”고 말했다.
블라인드펀드 출자를 하면 새마을금고의 부담은 줄어든다. 그 동안엔 개별 투자건이 알려질 때마다 정부로부터 관련 정보를 제출해달라는 요청을 받았지만, 블라인드펀드는 일일이 보고해야 할 일이 많지 않다.
사모펀드 운용사들에도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세부적인 투자 규모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그간의 투자 전략이나 대체투자 확대 목소리에 비춰보면 ‘큰 손’의 위상을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
최근 대형 기관투자가 자금은 일부 이름 있는 운용사로 몰리는 경향이 강해졌다. 유동성이 풍부한 가운데서도 새로운 운용사가 떠오르거나 펀드 자금을 매칭하기 어려워졌다. PEF 업계에선 새마을금고가 새로운 활력소가 될 것이란 기대도 나오고 있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9년 11월 21일 07: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