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 불황에 본진 업황은 악화
잠재 부실, 하반기에 수면 위 오르나
-
지방금융지주들이 핀테크 기업과 손을 잡고 수도권 영업을 강화하고 있지만 지역경제 불황으로 인해 본진에서의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지방금융지주는 지역특화산업 관련 중소기업 대출 비중이 높기 때문에 대출금 상환 불확실성이 있다. 또한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가계여신 부실까지 발생할 부담이 있다.
저금리 기조에 하강곡선을 그리던 순이자마진(NIM)이 기준금리 인하로 인해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진 점도 업황 불황에 일조한다. 실물경제의 회복이 아직 가시화되지 않고 기업의 수익과 고용 등의 하방 위험이 아직까지 존재한다는 평가가 있는 만큼 하반기 이후 지방금융지주의 잠재 부실이 수면 위로 부상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지방은행은 그동안 수도권영업 확장을 꾀했다. 2016년부터 지역특화 제조업 생산이 지속적으로 위축됨에 따라 여신증가율이 줄어든 만큼 점포나 인력을 줄일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10년간 지방은행의 수도권 점포도 16곳에서 73곳으로 5배 가까이 늘었다. 최근에는 핀테크 기업과 손을 잡고 시중은행과는 차별화된 상품을 내놓는 등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러나 주력 지역에서의 수익성은 위태로운 모습이다. 코로나 사태로 인해 기준금리가 인하되면서 NIM이 하락세일 뿐만 아니라 지방금융지주가 '중심'으로 두어야 한다고 요구되는 지역의 경제가 흔들리고 있다.
-
저금리 기조에 지방금융지주의 수익성은 정체되고 있다. 지방은행의 NIM은 하락곡선을 그리고 있다.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지방은행들의 NIM은 2.3~3.0%대에서 2% 밑으로까지 떨어지고 있다. 이에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기준금리도 인하됐다. 지난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0.75%에서 0.5%로 하향 조정하며 업황은 더욱 녹록지 않다.
지방금융지주의 건전성에 대한 우려도 커졌다. 지방은행들의 대출은 지역특화 산업 관련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에 쏠려있는데 해당 대출의 부실 징후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은 정부가 추경 예산을 통해 유동성을 풀며 새는 둑을 틀어막고 있는 형국이다. 대형금융지주의 경우 이런 수혜를 톡톡히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5년간 대규모로 늘린 개인사업자(SOHO) 부문 부실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까닭이다.
지방금융지주는 다소 결이 다르다. 이들의 건전성을 좌우하는 핵심 중 하나는 지방산업단지다. 이들은 업황과 경기의 부침을 크게 타며, 수출에 실적이 좌우되는 경향을 보인다. 당장 정부의 안정기금이 들어가느냐 아니냐에 따라 기업의 생사가 달려있다.
5월 우리나라 수출액은 24% 정도 감소했다. 특히 미국과 유럽에서의 수요가 줄어들면서 자동차 수출은 54.1%, 자동차 부품은 66.7% 감소했다. 유가하락 여파로 석유 수출도 69.9% 감소하는 등 주요 수출 품목의 수출액이 크게 줄었다.
정부가 아무리 돈을 푼다 해도 모든 기업을 살릴 순 없다. 경기 침체가 가시화한 이상 부실이 늘어나는 건 시간 문제라는 말이다. 선박 관련 중소기업 대출 비중이 높은 BNK금융그룹의 연체율은 이미 지난해 말 0.68%에서 올해 1분기 0.84%로 증가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2014년 건설, 정유, 선박 등 대기업 구조조정 이후 금융사들은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대출의 방향을 틀면서 2019년까지 대기업 대출이 50조원 가량 줄어들었다"며 "중소기업 대출 과잉 리스크가 많았는데 코로나 이후 중기대출의 잠재부실 문제가 현실화 가능성이 높아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고 말했다.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가계여신 부실도 나타날 수 있다. 물론 정부가 소상공인 대출금 6개월 상환 유예를 해주는 방안을 내놓아 당분간은 문제가 없을 수 있으나 하반기부터 그동안 이연돼 왔던 잠재 부실이 수면 위로 올라올 것이란 분석이다. DGB금융지주는 코로나 이후 원리금 상환유예를 신청한 대출 규모가 1개월 만에 요주의 여신 규모를 상회했다.
올해 말부터 내년 초까지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대출인 부실채권(NPL)이 쏟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까닭이다.
한 대형 회계법인 관계자는 "지역마다 특화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들은 지방은행에게 대출을 받을 것"이라며 "대출이자를 상환하지 못할 정도로 기업이 궁지에 몰리면 그에 따른 NPL이 발생할 것인데, 하반기 이후부터 지방은행과 상호금융 분야에서 NPL이 쏟아질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0년 06월 11일 09:51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