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네이버 결제수단으로 전락할 수도"
대출 서비스에도 반발…"대상 비슷한 듯"
-
"포털에 언론사가 갇히고 통제받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네이버쇼핑에서 신용카드로 결제하면 스마트스토어 입점 소상공인은 2.2%의 결제수수료를 내야한다. 그 중 절반 이상은 네이버가 가져간다. 네이버가 카드사 덕에 돈을 더 벌 수 있는 셈이다" (A카드 관계자)
네이버파이낸셜이 기존 금융사와의 협업 의지를 드러냈지만 카드업계 반응은 싸늘하다. 결제수수료에 대한 규제 적용도 달라 네이버파이낸셜이 언급한 '협력'은커녕 '경쟁'도 어렵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게다가 '신용카드사들은 결제보단 리볼빙, 할부 서비스로 수익을 올린다'는 말도 업계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발언이라는 지적이다.
최인혁 네이버파이낸셜 대표는 지난 29일 있었던 기자간담회에서 기존 금융권이 네이버파이낸셜을 비롯한 테크핀 업체에 대해 느끼는 불안감과 관련해 금융기업 각자의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제휴를 열어두고 협력모델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카드사는 쓴웃음을 지었다. 업계 상황에 대한 이해도 떨어지고 본인들은 패를 보여주지 않은 채 기존 금융사에 협력만 요한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카드사들은 테크핀 업체와 적용되는 규제가 다른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입을 모은다.
카드사들은 금융당국의 규제에 따라 가맹점 수수료를 0.8~1.6% 수준으로 낮춰야만 한다. 나가는 비용 대비 받는 수수료는 적어 사실상 역마진이다. 반면 네이버는 결제수수료로 최대 3% 후반대까지 가져가는 것으로 알려진다.
스마트스토어 입점사들이 대부분 매출 3억원 이하의 영세가맹점인 것을 감안하면, 신용카드 결제 시 2.2%의 결제수수료가 떼이는데, 카드사가 0.8% 언저리를 가져간다. 그 나머지는 모두 네이버페이가 가져가는 셈이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PG(전자지급결제대행업자)와 개별로 계약을 맺진 않으니 세부계약관계에 따라 다르겠지만 네이버가 좀 더 수수료를 많이 가져가는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금융당국은 네이버의 수수료 체계에 손을 대지 않겠다고 밝히는 것만 봐도 카드사를 압박하는 것과는 다른 행보"라고 말했다.
카드사들이 협력시 네이버파이낸셜에 종속될 것을 걱정하는 이유다. 네이버라는 큰 플랫폼 안에서 소액의 수수료만 떼가는 결제 수단의 일부로 존재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온라인 결제량은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실제로 온라인 결제 위주인 네이버페이의 거래액은 2016년 이후 꾸준히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코로나 이후 거래금액과 이용자 수는 각각 전년대비 46%, 23% 늘었다.
-
이같은 상황에서도 최 대표는 "신용카드사들은 결제보단 리볼빙, 할부 서비스로 수익을 올린다"고 언급했다. 가맹점수수료 제한으로 인해 매출 대비 카드결제 수수료 비중이 줄어드는 절체절명(絶體絶命)의 상황에 놓여있는 카드업계에 기름을 부었다는 평가다.
한 업계 관계자는 "카드사 상황을 전혀 이해하지 못한 발언"이라며 "협력을 하더라도 오히려 우리 덕에 네이버가 수수료를 더 챙길 것 같은데 이런 말까지 들으니 허탈하다"고 말했다.
대출 서비스를 선보이는 것도 협력을 불가능하게 하는 요소란 지적이다. 네이버파이낸셜은 금융이력이 적어 대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상공인을 위해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카드사가 그나마 수익을 내는 카드론도 저신용자나 다중채무자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그 대상이 일부 겹친다.
네이버파이낸셜 관계자는 "카드론은 개인사업자 말고도 개인들도 이용하는 서비스 아닌가"라며 "우리는 스마트스토어 사업자를 대상으로 대출을 하는 것으로 저신용자 대상 대출을 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다만 스마트 스토어 입점이 어렵지 않은 만큼 대출대상은 점차 확대될 수 있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한 패션업계 자영업자 B씨는 "다른 곳은 어느정도 스토어를 걸러 받는데 네이버는 그런 게 없어 5분이면 입점이 가능하다"며 "포화도 심하고 카피 제품도 많다보니 다들 장사가 잘 안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테크핀 업체들이 금융사에 협업을 요청하더라도 선뜻 함께하기도 어려운 분위기라는 지적이다. 비용을 많이 들여 협력을 도모했는데 중간에 엎어질 가능성이 있을 뿐더러 데이터를 공유해야하는 만큼 유출 리스크가 있다는 설명이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0년 07월 31일 07: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