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세 한계 부딪히며 독자 플랫폼에 대한 의지 약해져
네이버가 티빙 주주가 되는 안은 가능성 희박하단 평가
-
네이버와 CJ의 콘텐츠사업 제휴 추진 소식이 전해지면서 '티빙'이 때아닌 관심을 받고 있다. CJ ENM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플랫폼인 티빙은 넷플릭스나 웨이브 등 다른 사업자들과 비교해 성장세가 아쉽다는 평가를 받는다. 플랫폼 확장성에 의구심이 제기되던 와중 CJ가 국내 최대 포털사인 네이버와 손을 잡으면서 독자 플랫폼에 대한 그룹의 의지도 약해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M&A업계에 따르면 CJ ENM은 네이버와 자사주를 서로 교환하고, 자사주가 없는 스튜디오드래곤은 네이버로부터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지분 투자를 받는 식으로 관련 작업을 진행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콘텐츠 1위 사업자인 CJ와 국내 최대 포털사 네이버가 연합하면 그 시너지는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준일 것이라 본다. CJ는 온라인 커머스 콘텐츠 경쟁력이 부족하고 네이버는 수출 가능한 자체 콘텐츠가 다양하지 않다는 게 약점인데 연합 시 상쇄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네이버와 CJ와의 사업 제휴 소식이 전해지며 티빙의 향방도 함께 주목 받았다.
당초 CJ와 JTBC와의 연합은 업계에 큰 반향이 있었다. 국내 최고의 콘텐츠 사업자인 CJ와 또 다른 콘텐츠 강자 JTBC가 시너지를 만들어내며 파급력 또한 막강할 것이란 기대가 컸다. CJ 입장에서 JTBC는 지상파보다 규제가 덜하고 상대적으로 주도권을 잡기 수월하다는 전략적 이점을 갖춘 파트너이기도 했다. 웨이브 최대주주인 SK텔레콤의 합병 제안을 반려한 이유에도 지상파 3사가 이미 합류한 상황에서 자사의 콘텐츠가 종속돼 주도권을 잡기 어려울 수 있다는 계산이 깔려 있었다.
하지만 성장세 한계에 부딪히면서 그룹에서 거는 기대감이 약해졌고, 동시에 강력한 플랫폼 확장성을 갖춘 네이버와 손을 잡으면서 독자 플랫폼의 존재 의미도 힘을 잃었다는 평가다. 파트너인 JTBC와 함께 한창 박차를 가해야 할 시점에 정작 CJ그룹의 의지는 이전 같지 않다는 관전이다.
CJ그룹 내부사정에 정통한 관계자에 따르면 CJ와 JTBC는 모두 콘텐츠공급사업자(CP)로 플랫폼 주축 대형 사업자는 아니다보니 확장성엔 한계가 있다는 판단이다. 티빙 신임 대표로 내정된 양지을 CJ ENM 티빙TF 부사장이 키맨이 돼 플랫폼 제공이 가능한 대형 사업자를 접촉, 협력 의사를 타진해왔지만 초국적 OTT들의 아성을 넘기엔 '플랫폼' 티빙은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티빙은 그간 월간 순이용자(AUM) 규모를 키우고는 있지만 1·2위 사업자인 넷플릭스와 웨이브와의 격차는 좁히지 못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닐슨코리안클릭에 따르면 8월 기준 3위 사업자인 티빙의 AUM은 255만명으로, 넷플릭스(756만명)와 웨이브(388만명)와 비교하면 부진하다.
넷플릭스뿐 아니라 국내 론칭이 확실시되고 있는 디즈니플러스의 존재감은 토종 OTT들을 압도한다. 국내 OTT들의 가입자 성장률이 제자리걸음하는 동안 넷플릭스 지표는 고공행진했고 디즈니플러스는 론칭 9개월 만에 6000만 가입자를 확보했다. 티빙은 다른 토종 OTT인 웨이브에도 실적이 뒤쳐지면서 그룹 차원에서도 더이상 기대감을 갖기 어려운 환경이 됐다. 이들 간 합종연횡만이 유일한 대안으로 떠올랐지만 웨이브와 티빙의 합병 시나리오도 현재로선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네이버가 티빙 합작법인에 투자금을 넣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하지만 최대주주인 CJ ENM과 2대주주 JTBC보다 적은 지분율로 참여하려고 할지는 미지수다. 다수의 관계자들이 이번 연합으로 한류 콘텐츠를 해외로 수출하려는 의도를 드러낸 네이버가 보조자 역할에 그치진 않을 거라 말한다.
투자업계 관계자는 "CJ그룹이 JTBC와 연내 지분구조를 확정할 목표로 사업 방향을 논의하고는 있지만 강력한 플랫폼 사업자인 네이버와 연합하면서 상황이 좀 미묘해졌다. 티빙의 플랫폼 확장성에 한계를 느끼면서 파트너인 JTBC와의 사업 논의도 지지부진해진 감이 있다"라고 전했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0년 10월 22일 07: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