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우 회장 22일 환노위 청문회 참석
산업재해 관련 질의에 “죄송하다”
국민연금 기금위서 주주권 행사 결정
반대표 행사시 최 회장 연임 어려울 듯
-
포스코를 향한 정치권의 압박이 거세다. 산업재해가 잇따르자 여당은 국민연금으로 하여금 포스코에 적극적 주주권행사를 주문했고, 국회는 청문회에서 최정우 회장를 질타하며 사과를 이끌어 냈다. 관련업계와 시장에선 최정우 회장의 연임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였다. 그런데 잇따른 사고와 국내외 기관투자가들의 ESG 투자 기조 강화가 맞물리면서 올해 주주총회에서 최 회장의 연임이 상당한 난항을 겪을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오기 시작했다.
포스코는 주주총회 소집공고를 통해 올해 7명의 이사진 교체를 예고했다. 최정우 회장을 포함한 사내이사 5명과 사외이사 2명(유영숙 전 환경부 장관, 권태균 법무법인 율촌 비상근 고문)이 새로 선임될 후보군이다.
사실 대내외적으로 최 회장의 연임은 기정사실화하는 기류가 형성돼 있었다. 지난 1994년도 4대 최고경영자(CEO)였던 김만제 전 회장부터 2017년 8대 권오준 전 회장까지 모든 CEO가 한 차례씩 연임에 성공했다. 두 번째 임기를 모두 마친 CEO는 없었으나 이사후보 추천 및 운영위원회(이사후보추천위원회로 변경 추진중)는 재직중인 CEO의 연임에 대해선 모두 승인했다.
포스코는 “CEO 후보추천위원회가 수차례의 회의를 통해 독립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자격심사를 실시했다”며 “포스코의 장기적인 가치를 증진하고 경쟁력을 더 높일 수 있는 적임자라는 뜻을 모아 최정우 회장을 차기 CEO로 추천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8년 임시주총에서 최 회장의 사내이사 선임 안건은 발행주식총수의 91%, 전체 주식의 97%의 찬성으로 통과했다.
과거의 찬성률만 비쳐보면 최 회장의 연임이 무난할 것으로 전망됐다. 그런데 최근 들어서 기류가 급격하게 바뀌는 양상이다. 포스코 산업재해 이슈가 도마위에 오름에 따라 여당을 중심으로 한 정치권에선 최대주주인 국민연금의 적극적 주주권행사를 주문한 상태다.
더불어민주당의 이낙연 대표는 “포스코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이 되도록 스튜어드십코드를 제대로 시행해 줄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고, 노웅래 최고의원은 “산재왕국 포스코 등과 같은 문제기업에 대해 국민연금의 주주권 행사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 같은 기류는 청문회까지 이어졌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22일 산업재해가 자주 발생하는 포스코를 포함한 기업 9곳 CEO를 대상으로 청문회를 열었다. 포스코 노동조합에 따르면 최 회장이 취임한 2018년 7월 이후 현장에서 사망한 노동자는 총 14명이다. 고용노동부가 산업재해로 인정한 인원만 8명에 달한다. 청문회에서 최 회장은 “연이은 산재에 죄송하다. 무재해 사업장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고개를 숙였다.
일단 정치권에서 국민연금에 포스코에 대한 스튜어드십코드 발동을 주문한 만큼 어떠한 방식으로든 국민연금이 주주권을 행사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국민연금이 당장 내달 12일 열리는 주총에서 주주제안 안건을 상정하지 않더라도 이사 선임에 대한 기권, 중립, 반대표 행사 또는 추후 경영진 면담 및 외부 이사 선임 등을 추진할 개연성이 남아있다는 평가다.
실제로 국민연금은 지난 2017년 주주총회에서 권오준 전 회장의 연임안에 ‘중립’ 의결권을 행사 했다. ‘중립’은 다른 주주의 찬성 및 반대 투표 비율을 의안 결의에 그대로 적용하는 투표 방식이다.
당시 국민연금 의결권 전문위원회는 “포스코의 포레카 매각과 관련해 제기되고 있는 의혹에 대해 법원 판결과 같은 국가기관의 판단이 있는 상황은 아니지만, 사회적 논란 확산 등으로 기업가치 등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있다”며 의결권 행사 배경을 설명했다.
과거 국민연금의 의결권 행사를 비쳐볼 때 이번에도 내부의 정성적인 평가가 표결에 미칠 영향도 배제할 수 없다는 평가다. 국민연금은 이달 말 기금운용위원회를 열어 논란이 되는 기업들에 대한 주주제안 여부를 결정한다. 국민연금은 포스코 지분 11.4%를 보유한 단일 최대주주, 나머지는 74%는 지분율 5% 미만 투자자들이다. 만약 국민연금이 최 회장의 연임에 반대를 행사한다면 안건 통과여부는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
국민연금의 포스코에 대한 주주권행사 근거는 ‘ESG 투자 기준’이 될 가능성이 크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포스코의 ESG 종합등급은 ‘A’ 이다. 세부적으론 ▲환경(E) ‘A등급’ ▲지배구조(G) ‘A+등급’을 부여받았으나 사회(S) 부문은 ‘B등급’을 기록했다. 2016년도만 해도 사회(S) 부문은 ‘A+등급’을 부여했으나 노동자의 사망 사고가 잇따라 발생함에 따라 사회 부문의 등급이 급격히 하락했다.
국민연금은 정기 ESG평가 등급이 하락한 기업을 ‘중점관리사안’으로 규정한다. 중점관리 대상에 포함한 기업에 대해선 비공개 서한발송, 기업과의 대화 등을 진행하고 추후 적극적 주주권 행사도 고려한다. 국민연금은 지난 2019년 기준 검찰 또는 경찰의 수사 등 국가기관의 조사가 있거나 환경법규 위반, 사업장 내 인명피해가 발생한 사건 등 ESG관련 이슈가 있는 20개 기업에 대해 서신발송 및 면담을 진행한 바 있다.
투자은행(IB) 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산업재해와 관련한 이슈가 정치권을 중심으로 화두가 된 만큼 사건의 중심에 서 있는 최 회장의 연임 제동을 비롯해 어떠한 방식으로든 주주권 행사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한다”며 “국민연금이 자체적인 의사결정 권한이 있다하더라도 정치권의 압박이 심화하고 있는 한 과거보다 강도 높은 제안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외국계 기관투자가의 표결도 관심의 대상이다. 지난해 기준 포스코의 주요 외국인 주주는 ▲브리티시컬럼비아주투자공사(BCI) ▲캘리포니아공무원연금(CalPERS) ▲플로리다연금(SBA Florida) ▲온타리오교직원연금(OTPP) ▲캐나다연금(CPPIB) 등으로 구성돼 있다.
해당 외국계 기관들은 지난해 주주총회 ‘후보추천위원회의 독립성 부족’, ‘성별의 다양성 부족’ 등의 이유로 일부 이사 후보의 선임에 반대 했다. 외국계 투자기관들은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기업에 대해서 국내 기관보다 다소 엄격한 잣대를 적용한다는 점도 최 회장의 연임 성공을 장담할 수 없는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1년 02월 22일 17:05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