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법감시 필요성 커지는데 대비에 차질?
컴플라이언스업계서 번지는 핀테크 혹평
-
비바리퍼블리카(이하 토스)가 자금세탁방지(AML)을 담당하던 법무팀에서 인력 이탈이 이어지고 있다. 사내에서 개발자와 비교해 컴플라이언스(준법감시) 인력들을 푸대접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벤처기업의 특성상 토스 설립 초창기 직원들의 발언권이 강하다는 점과, '스트라이크 제도' 등 일부 인사평가 시스템도 원인으로 꼽힌다.
인터넷은행 토스뱅크 출범도 앞두고 있는 만큼 현 은행들에게 주어지는 만큼의 준법감시 책임이 지워질 경우 대응하기 어려워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향후 사용자 증가 및 가상화폐와의 연계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준법감시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지만 사내 문화에 대한 혹평이 법조계에서 커지고 있는 까닭에서다.
26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토스 및 토스 계열사에서 준법감시를 담당하던 인력들이 연이어 퇴사하고 있다. 이 모 토스 전 법무이사는 준법감시에 대한 사측과의 불협화음 등을 이유로 지난해 초 토스를 떠났다. 토스뱅크의 출범을 준비하는 토스혁신준비법인의 준법감시 업무를 담당하던 인력도 최근 퇴사를 결심한 것으로 알려진다.
핀테크 기업들은 점점 준법감시에도 신경을 써야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사용자가 늘어나며 은행에 버금가는 준법감시 책임이 지워질 가능성이 클 뿐 아니라 가상화폐와도 엮일 수 있어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에 즉각 신고할 자금세탁 관련 전문가도 필요하다. 특히 토스는 토스뱅크의 본인가를 한 달 앞두고 준비 중이다.
줄퇴사의 원인으로는 토스의 인사 체계가 첫 손에 꼽힌다. 토스는 '스트라이크 제도'와 '3개월 수습기간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먼저 스트라이크 제도는 3번 정도 동료들로부터 '함께 일하기 싫은 사람'으로 지목될 경우 퇴사를 권고당하는 제도다. 3개월 수습기간 제도는 경력직에게도 적용되는 규율로 3개월간 피드백을 받게 된다.
그런데 준법감시 업무는 성과가 겉으로 표나지 않는 부서다. 오히려 법적 근거를 들어 직원들이 제시하는 혁신에 제동을 거는 것이 주 업무여서 금융사에겐 오히려 '비용'에 가깝다는 혹평도 많다. 혁신을 좇아야 하는 개발자가 백오피스 인력보다 더 많을 '토스' 내부적으로는 준법감시 업무를 담당하는 인력들에 대한 불만이 상당했을 것이란 평가다.
한 대형 법무법인 변호사는 "토스는 동그란 테이블에 모여 앉아서 누구와 가장 일하기 싫은지를 써내는 문화가 있다고 들었다"라며 "비인간적인 인사 평가 시스템 때문에 주변에도 퇴사한 사람이 있는데 그 사람도 컴플라이언스 관련 부서 인력이었다"라고 말했다.
일부 발언권이 센 멤버에 대한 언급도 나온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부서마다 일부 차이는 있지만, 토스의 경우 초창기에 함께한 100명 정도의 직원들이 나중에 입사한 인재들보다 우대받는 문화가 없지 않다"며 "나중에 들어온 인재들이 더 까다로운 채용과정을 거쳐 입사했음에도, 이런 사내 문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나가떨어지는 경우가 많다"라고 말했다.
-
준법감시 니즈(Needs)는 커지지만 기업문화가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이다. 토스 등 핀테크 기업 문화에 대한 혹평이 시장에 퍼지면서 준법감시 업무 경력자들이 하나 둘 등을 돌리는 모습이다. 실제로 경력이 10년 이상 있는 준법감시 경력자들 사이에서 핀테크 기업으로의 이직에 대해 회의적인 평가가 나오기 시작했다는 전언이다.
한 준법감시업계 관계자는 "준법감시 니즈가 급격히 커졌던 2019년 중순, 많은 준법감시 관련 경력자들이 은행 등의 준법감시인 자리에 계약직으로 채용됐는데 임기인 2년이 거의 지나가고 있다"라며 "곧 이직시장에 쏟아질테지만 토스와 같이 사내 분위기가 흉흉한 기업으로의 이직보단 성장가능성이 있는 코인 거래소 같은 곳은 이직대상으로 어떤지 고민하는 모습이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토스 관계자는 "퇴사한 해당 인력은 개인적인 사유로 자리를 떠난 것으로 안다"며 "컴플라이언스 부문 인력은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있다"고 말했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1년 05월 26일 07: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