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대표 부임 뒤 실적 호전됐지만 '정부 덕분'
손해율은 경쟁사 대비 높아...향후 실적 변수
-
KB손해보험의 KB금융그룹 내 비중이 크게 줄어들고 있다. 불과 4년 전까지만 해도 '비은행 3대장'의 맏형으로서 위신을 세웠지만, 지금은 '굴러들어온 막내'인 푸르덴셜생명에게까지 입지를 위협당하고 있는 처지다.
올해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되긴 했지만, 올 초 새로 취임한 김기환 대표의 수심은 더욱 깊어질 전망이다. 손보사 경쟁력의 핵심 척도로 꼽히는 손해율이 경쟁사 대비 유리하지 못한 상황이라서다. KB손보가 주춤하는 사이 경쟁 손보사들은 손해율을 큰 폭으로 끌어내리며 '어닝 서프라이즈'를 예고하고 있다.
KB손보는 올해 3분기 말 지배지분 기준 269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4.3%나 개선된 규모다.
KB손보 역시 다른 손보사들과 마찬가지로 보험영업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투자영업으로 만회하는 사업구조를 가지고 있다. 올해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보험영업손익이 1100억원이나 개선됐고, 투자영업수익은 유동성에 힘입어 9.5% 증가했다. 덕분에 희망퇴직 비용 210억원 등 일회성 비용을 계상하고도 V자 실적 반등에 성공했다.
KB손보는 올해 초 5년 만에 사령탑을 교체했다. 양종희 전 대표가 지주 보험부문 부회장으로 영전하며 빈 자리를 지주에서 살림을 책임지던 최고재무책임자(CFO) 출신 김기환 대표가 채웠다. 실적만 보면 2년 임기의 첫 해를 일단 성공적으로 보내고 있는 모양새다.
-
다만 손보업계에선 다소 다른 평가가 나온다.
손보업계는 지금 '대호황기'에 접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3분기 실적 기준 대부분의 손보사들이 '어닝 서프라이즈'를 예고하고 있다. 덩치가 훨씬 큰 삼성화재보험이 KB손보와 비슷한 수준의 연간(YoY) 성장을 보일 전망이고, 경쟁사 DB손해보험은 전년대비 70%, 한화손해보험은 100% 수준의 수익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다른 손보사들 역시 보험영업수익의 개선세가 실적 상승세의 핵심이다. 특히 손해율이 낮아진 점이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코로나19 이후 외부 활동이 줄어들고, 보험금 지급 건수가 줄어들며 올 3분기 기준 주요 손보사들은 모두 전년동기 대비 평균 2%포인트 정도 손해율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KB손보의 3분기 말 기준 손해율은 84.2%로 집계됐다. 2020년 3분기 85.2%대비 감소폭이 경쟁사에 비해 적다. 실적 악화의 주범이었던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70%대 후반으로 내려왔지만, 대신 일반보험 손해율이 급등했다.
KB손보의 일반보험 손해율은 88%대로, 경쟁사들의 일반보험 손해율이 60~70%대에 머물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높은 수치다. 심지어 이들은 지난해 대비 일반보험 손해율이 큰 폭으로 떨어진 데 반해, KB손보는 3분기 연간(YoY) 대비로 계속 비슷한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
KB손보의 실적 개선에 가장 크게 기여한 자동차보험 손해율 하락세 역시 특정 경영자의 치적이라고 보긴 어렵다는 평가다. 이는 온전히 정책 변경의 덕분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폭증하자, 정부는 음주 및 뺑소니운전 처벌 강화ㆍ한방 과잉진료 개선ㆍ심사평가원 진료비 심사 강화 등의 대책을 내놨다. 향후 치료비 전액 지급제도 개선ㆍ진단서 제출 의무화 등 추가 정책이 기다리고 있다. 이로 인해 코로나19 이후 차량 운행이 증가했음에도 낮은 손해율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한 손보업계 관계자는 "올해엔 코로나19로 인한 자산가치 상승, 자동차보험 관련 정책 이슈 등으로 인해 대부분의 손보사가 좋은 실적을 낼 것"이라며 "KB손보는 소위 '빅4'중에서 손해율 관리에 약한 축에 속한다"고 말했다.
-
그러던 사이 KB손보의 그룹 내 입지는 수년 전과 비교해 상당히 하락한 상태다.
KB손보는 윤종규 회장 취임 이후 잇따라 진행된 대형 비은행 인수합병(M&A)의 아이콘과도 같은 존재였다. 잇딴 인수합병 이후 '새로운 KB금융'의 사실상 첫 영업년도였던 2017년, KB손보는 330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비은행 계열사의 맏형 역할을 했다.
지금은 거듭된 수익 규모 축소에 전 같지 못한 위상을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다. 올해 3분기 말 기준 '비은행 맏형' 타이틀은 KB증권이 가져갔다. KB손보보다 두 배 많은 수익을 냈다. KB국민카드도 KB손보를 추월했다. 지난해 KB금융그룹에 편입된 '막내' 푸르덴셜생명이 턱 밑까지 추격하고 있다. 두 회사 간 순익 격차는 130억여원에 불과하다.
손보업 특성상 드라마틱하게 실적이 개선되길 기대하긴 쉽지 않다. KB손보의 올해 3분기 말 기준 전년대비 원수보험료 성장률은 5.4%로, 2019~202년 사이 성장률 6.8% 대비 성장 폭이 줄었다. 2%대로 떨어진 자산운용이익률이 급반등하길 바라기도 쉽지 않다는 평가다.
손해율 관리와 더불어 외형성장에 대한 대안을 내놓지 못한다면, 김기환 대표의 취임일성인 '당당히 1등에 도전하는 KB손보'는 공염불에 그칠 가능성이 큰 셈이다. 신용평가업계에 따르면, KB손보의 시장 지위는 현재 4위로 KB금융 피인수 전과 크게 다르지 않은 상황이다.
LIG손해보험 시절부터 KB손보에 근무해 온 한 관계자는 "KB금융이 주인이 된 이후 가장 큰 변화는 회사 문화가 정시출퇴근을 중시하는 은행 같아졌다는 점"이라며 "젊은 직원 대다수의 꿈이 '팀장 보직을 달지 않는(책임을 지지 않는) 차장으로 정년까지 근무하는 것'이란 말이 공공연하게 들려 우려스러울 정도"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