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경쟁체제 전환 검토…캠코 급부상
구조혁신, 민간 아닌 정책영역이라 보는 기조
-
- 이미지 크게보기
- (그래픽=윤수민 기자)
내년 1조원 규모로 조성될 4차 기업구조혁신펀드의 운용사로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가 부상하고 있다. 올해로 3차까지 조성된 이 펀드는 지금까지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이 도맡아 운용해왔지만 4차부터는 경쟁 체제로 전환될 가능성이 커졌다.
기업구조혁신펀드는 중견·중소기업의 구조조정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와 정책금융기관, 민간투자자들이 출자해 조성하는 펀드다. 시장 중심의 상시적 구조조정으로 전환하기 위해 정책금융기관 등이 마중물이 되겠다는 취지다. 산업은행·수출입은행·중소기업은행·캠코 등이 주요주주로 있다.
한국성장금융이 3차 펀드까지 모펀드 운용사 지위를 독점했지만 4차부터는 경쟁체제로 전환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정부 기조는 기업 구조조정을 민간이 아닌 정책영역에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구조혁신펀드 운영 또한 캠코 등 정책 기관 소관으로 두려는 의지가 강한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로선 4차 펀드의 운용사로 캠코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성장금융 내부에서도 이번엔 모펀드 운용사 지위를 유지하지 어렵지 않겠느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캠코는 최근 외부 컨설팅사에 구조조정 업무를 위한 자문용역을 잇따라 발주하는 등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그간 캠코의 지원 대상은 부실징후 기업으로 한정돼 있었지만 작년 7월 법(한국자산관리공사 설립 등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구조개선기업까지 범위가 확대된 바 있다.
금융위는 "현재 기업구조혁신펀드 위탁사를 물색 중"이라며 "성장금융과 캠코 등 여러 곳을 열어두고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위탁사 변경과 관련해 정치적 고려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시선도 있다. 성장금융은 작년 투자운용을 아우르는 자리에 경력이 일천한 청와대 출신 인사를 낙점하며 '낙하산' 논란에 휘말린 바 있다. 이후 성장금융과 금융위 내 구조개선 관련 분과가 불편한 관계가 됐을 것이란 지적이다.
-
캠코가 4차 펀드의 운용을 맡을 경우 입지도 다시 탄탄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캠코는 준정부기관으로 상시 구조조정 역할을 하는데 최근 수년간은 해당 업무가 부각되지 않아 입지가 모호하단 평이 있었다.
4차 펀드 규모는 3차와 비슷하거나 클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현재 경기 여건이 악화한 만큼 구조혁신 수요가 더 커질 것이라 보고 있다. 실제 기업 구조조정 확대로 펀드 소진 속도도 빨라지는 중이다.
2013년 이후 설정된 펀드들의 만기는 점차 도래하고 있다. 올해 이후 운용사들이 본격적으로 투자 회수에 나설 것으로 점쳐진다. 실제 구조혁신펀드에선 세컨더리 거래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캠코가 새 운용사가 될 경우 출자 방향도 관심거리다. 최근엔 부채투자전용펀드(PDF) 투자 대상을 넓히고 있다. 1차에선 조선·건설중장비·철강 분야의 중견·중소기업, 2차에선 사후적 구조조정 기업으로 한정했으나, 3차부터 자본잠식과 과다부채 기업 등 사전적 구조조정 기업까지 범위를 확대시켰다. 신사업 분야 투자를 늘릴 가능성도 있다.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그간 구조혁신펀드는 담보 확보에 초점을 뒀지만 이제는 성장성에 방점을 둔 투자 사례가 나오고 있다"며 "작년 중고나라, 올해 마이리얼트립 투자가 대표적이다"라고 말했다.
민간자금을 어떻게 매칭하느냐 하는 과제는 있다. 매칭 비율은 펀드 결성금액의 절반 이상이고, 60% 이상까지 올라가기도 한다. 대상기업들이 대체로 위험성 높은 자산으로 분류되는 만큼 선뜻 리스크를 지겠다는 곳을 찾기 어렵고, 투자여건 악화로 민간자금도 빠르게 마르고 있다.
한 정책금융기관 관계자는 "최근 민간금융기관들이 몸을 매우 사리고 펀딩 경쟁도 치열해진 만큼 민간 매칭이 더욱 쉽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