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관은 하이證 부동산 PF?…부실채권 급증세
공사비 오르고 분양 경기 회복세 가늠 안 돼
-
DGB금융지주가 본격적으로 시중은행 전환을 추진하는 가운데 하이투자증권의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손실 부담이 이어지고 있다.
전 금융권이 부동산 PF 대주단 협약을 체결하면서 관련 대출의 만기가 연장되고는 있지만 분양 경기가 언제 좋아질까 가늠하긴 어려운 상황이다. 대구은행도 이자익 성장세가 둔화하고 대손비용이 오르고 있어 공격적인 확장정책에 대한 회의적 시선이 나오고 있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DGB대구은행은 지난 26일 하반기 조직개편에서 DGB금융지주와 시중은행 전환을 위한 태스크포스팀(TFT)을 공동으로 구성하고 본격적으로 가동한다고 밝혔다. 앞서 대구은행은 은행장 직속의 시중은행전환추진팀을 꾸린 바 있다. 이번에 구성된 TFT와 함께 시중은행 전환 인가 신청 작업 및 향후 사업계획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관련업계에선 DGB금융지주가 이르면 10월 중으로 시중은행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고 있다. 오는 9월에 시중은행 전환 인가 신청을 하고 곧바로 본인가 절차를 밟는다면 한 달 내로 승인 여부가 결정될 것이란 설명이다. 금융당국은 절차 간소화 등을 통해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에 힘을 보태고 있다. 일반적으로 은행 인가를 내줄 때는 예비인가를 받아야 하지만 신규은행 설립이 아니라는 점에서 예비인가 생략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알려진다.
다만, 하이투자증권의 부실채권이 급격하게 늘어나며 DGB금융지주의 자금 부담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이 변수로 지적된다.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후 영업망 확대에 상당한 자금이 필요한 DGB지주 입장에서, 언제 터질지 모르는 하이투자증권 잠재 부실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는 까닭이다.
올해 1분기 기준 하이투자증권의 고정이하자산금액은 2307억원으로 지난해 1986억원 대비 증가했다. 고정이하자산비율은 7.13%로 업계 최상위권을 기록했다. 분양 경기 악화로 부동산 관련 대출의 회수가 불투명해지면서 대출 연체 기간이 3개월이 넘는 고정이하자산이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분양 경기 회복세를 가늠하기 어려운 가운데 부실채권 규모가 늘어날 가능성이 거론된다. 서울 등 일부 지역에서 얼어붙은 부동산 투심이 되살아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공사비가 오르며 건설 현장이 잇따라 멈추는 등 자금을 대준 금융사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자율협약 등으로 금융사들이 부동산 관련 대출 만기를 연장하고 있지만 손실을 만회할 정도의 완연한 경기 회복이 언제 도래할지가 관건이라는 것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자율협약 등을 통해 차주, 시공사, 시행사 등이 고통분담해서 대출을 연장하고 있지만 단기간 내에 부동산 업황이 좋아질 것 같지 않다"라며 "공사비 오름세가 계속되어서 비용 부담이 커진다면 리스크가 더욱 커질 수 있다"라고 말했다.
하이투자증권이 대손충당금 적립을 통해 대응에 나서고 있지만 관련업계에선 DGB금융지주의 추가 지원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지난해 레고랜드 사태로 채권시장의 유동성이 경색되자 DGB금융지주는 하이투자증권 회사채 발행에 지급보증을 서며 구원투수로 나섰는데 상황이 최악으로 치닫는다면 직접 지원에 나설 수도 있다. 지난 4월 한국신용평가가 발간한 '증권사 부동산금융 손실 시나리오 테스트'를 기반으로 추정해 봤을 때 하이투자증권은 최대 4000억원에 이르는 대출채권을 차감해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DGB금융지주에선 하이투자증권에 인력을 파견하며 부동산 PF 관련 건전성 관리에 유독 신경 쓰는 분위기다. 하이투자증권은 기존의 사후관리부를 실로 격상시키고 부동산 PF 대출 건을 점검 중인 것으로 알려진다. 이 과정에서 대구은행 출신인 오주환 실장을 영입했는데 지주에서 직접 의견을 냈다는 후문이다.
재정적 '뒷배'가 되어야 할 DGB대구은행의 영업환경도 썩(?) 좋지 못하다. 이자익 성장세는 시중은행들보다 더 빠르게 둔화하고 대손비용률은 더 크게 오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DGB금융지주의 NIM(순이자마진) 하락 폭은 약 6~7bp 수준으로 2분기에 6bp 상승한 KB금융과 대비될 것으로 예측된다. 변동금리 위주의 대출로 시중은행 대비 시장금리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이 은행업계에 현금 유보를 권장하고 있어 대구은행이 공격적으로 확장 정책을 추진할 수 있을지 의문이란 목소리가 나온다. 시중은행과 비슷한 규모의 점포를 갖추는 데만 조 단위 비용이 들 것으로 추산되면서다. 금융당국은 지난해부터 현금을 추가로 적립해 경기 침체 국면에서 자본 버퍼(여력)를 키울 것을 주문하고 있다.
아울러 지난해 보통주자본비율 기준 주주환원율 목표치를 최대 40%로 밝히면서 주주들이 시중은행 전환에 드는 비용을 어디까지 이해해 줄 수 있을까에 대해서 시선이 쏠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