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바이오붐' 가능성 대두되지만
IPO 시장과 괴리 있을 듯
-
바이오 산업이 다시금 투자업계 주목을 받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며 바이오 기업들이 상장을 위해 증권사들의 문을 두드릴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오 기업 특성상 매출 시현이 당장 어려운 까닭에 '기술특례상장'(이하 기특상장)제도를 활용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증권사들은 '발행사 옥석가리기'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중순 발표된 기특상장 제도 개선방안이 연초부터 적용되며 주관사 책임이 높아졌다. 바이오 산업에 대한 관심에 비해 바이오 기업에 대한 투자심리 회복은 더디다. 투입 비용 대비 성과가 저조해 증권사들은 관련 조직 확대에 회의적이다.
지난해 7월 금융위원회(이하 금융위)가 발표한 개선방안은 11월 한국거래소(이하 거래소)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및 시행세칙 개정 예고를 거쳐 올초 상장에 나서는 기업들에게 적용되고 있다. 해당 방안은 파두 사태를 계기로 마련됐는데, 주관사의 책임을 강화하는 내용이 골자다. 기특상장을 추진한 발행사가 2년 내 부실화할 경우 상장을 주관한 주관사에 풋백옵션 등을 부과한다.
주관사 책임이 가중되면서 증권사들은 발행사를 가려서 받아야 하는 필요성이 커졌다. 실제로 옥석가리기가 한창이라고 전해진다. 기특상장 문턱을 넘을 수 있는 규모의 기업이 아닌, 후속 투자유치가 어려워져 상장 시장을 찾으려는 기업은 주관을 맡는 것이 다소 부담스럽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거래소는 최근까지 발행사로 하여금 '수익성이 보장된' 파이프라인을 보유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기특상장 도전 기업의 사업성 평가가 더욱 엄격해지는 분위기에 발맞춰, 주관사들 또한 증권신고서에 공을 들이고 있다. 지난해 기특상장을 통해 증시에 입성한 바이오기업 지아이이노베이션의 증권신고서 형식을 기준으로 삼고 향후 실적을 꼼꼼히 추정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바이오 기업에 대한 기관투자자(이하 기관)들의 투자심리가 여전히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 까닭에 딜 흥행을 점치기도 쉽지 않다.
그간 바이오 기업들 위주로 딜을 수임해온 키움증권은 비중을 줄이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대신증권은 IPO 부서마다 기특상장 시 평가등급을 양호하게 받을 수 있도록 보조하는 인력을 두고 있다. 그러나 해당 인력을 증원하려는 분위기는 감지되지 않고 있다. 대형 증권사들도 바이오 딜을 꾸준히 수임 중이긴 하나 성과가 나지는 않는다고 토로한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기관들이 바이오기업 투자에 대해 여전히 회의적이다. 바이오 기업 상장 주관을 꾸준히 하고 있긴 하지만 성과가 나진 않고 있다"라며 "업황이 개선되기 전까지는 바이오 상장을 주관하는 인력을 늘리기는 어려울 것 같다"라고 말했다.
반면 거래소 측은 "개정안이 적용되더라도 거래소의 심사 기준은 동일하다"라며 "문턱이 높아졌다기 보단 기특 상장을 청구하는 바이오 기업 수가 줄어들었다. 미국 등 전세계적인 현상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