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금융 회장직, 관치 논란 재점화
입력 15.03.03 07:00|수정 15.03.03 07:00
모피아 출신 회장직 유력설에 '관치 논란'불거져
사외이사 독립성'의심'…절반이 관(官)출신
  • [02월25일 15:24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게재]
    임종룡 회장의 금융위원장 내정으로 공석이 된 농협금융지주 회장직을 두고 관치 논란이 재점화하고 있다.

    신충식 농협은행장이 2012년 2월 잠시 회장 자리를 겸직한 것을 제외하면 역대 회장은 모두 관(官) 출신이 차지했다. 유력 차기 회장으로 김석동 전 금융위원장도 거론된다.

  • 국회 정무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김석동 전 위원장의 경우 농협금융 사외이사, 농협경제연구소 소장을 거친 바 있다"며 "김 전 위원장이 거론되는 것만으로도 농협금융이 관치의 장이 됐다는 방증"이라고 설명했다. 업계에선 김 전 위원장이 아니더라도 다른 정부 관계자가 회장직에 오를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사외이사 구성에서도 말이 나온다. 농협금융 사외이사는 민상기 서울대 명예교수를 비롯해 전홍렬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 김준규 전 검찰총장과 손상호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 등 총 4명이다. 금융당국 인사가 절반이다. 민상기 교수는 기획재정부 금융발전심위위원회의 위원장,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민간위원장 등을 지냈다.

    회장추천위원회는 농협중앙회장이 추천한 1명, 사외이사 2명, 이사회가 추천한 외부전문가 2명 등 모두 5명으로 꾸려진다. 현재 구성 상으로는 정부의 입김이 작용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최원병 농협중앙회장이 정부와의 원만한 관계를 바라고 있어 연이은 낙하산 인사에 '수수방관'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정무위 관계자는 "농협이 신경분리(신용사업과 경제사업의 분리)를 하는 과정에서 모피아들이 이 틈을 비집고 들어왔다"며 "농협이 일반 금융사와 별반 다를 바 없게 되면서, 농민 이익을 위한 활동이 희석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현재 농협금융에 대한 관리 감독권은 농림부와 금융당국이 동시에 갖고 있다. 정부 관계자가 주요 요직을 차지하게 되면 농협금융은 정부의 입김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농업협동조합의 취지인 농민의 이익 기여는 뒷전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농협금융은 갑작스러운 수장 공백에 당황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임종룡 회장은 1년 반만에 자리에서 물러난다. 농협금융지주는 3년 간 3번의 회장 교체를 겪었다. 농협금융지주는 다음주 회추위를 위한 이사회를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