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가치경영실, 대우인터 임직원 반발도 미리 준비
입력 15.06.12 15:02|수정 15.06.12 15:02
[Invest Chosun]
미얀마 가스전 매각 반발 예상…"육상가스관 먼저 매각해 대우인터 거부감 줄여라"
  • [06월11일 18:04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게재]

    대우인터내셔널 미얀마 가스전 매각 검토로 불거진 포스코의 내홍이 이어지고 있다. 불을 지핀 것은 지난달 유출됐던 포스코의 내부문건. 조청명 전 실장이 진두지휘한 가치경영실에서 작성됐다.

    이 문건의 이름은 'DWI(대우인터내셔널) 자원사업 구조개선 검토'. 총 9페이지의 파워포인트 화면으로 이뤄져 있다. 미얀마 가스전 매각 검토배경에서부터 현황·검토안·주요이슈·기대효과·향후일정 등의 순서로 내용이 구성됐다.

    특히 이 문건에는 미얀마 가스전 매각시 대우인터내셔널 임직원의 반발이 있을 것이란 예상도 담겼다. 실제 벌어진 일 그대로다. 이에 대한 대응책도 미리 구상됐다.

    문건은 우선 요약 페이지(Executive Summary)를 통해 "미얀마 가스전은 본격적인 상업생산 개시로 수익이 창출되고 있지만 대규모 투자자금의 고착화 및 부채증가로 연결재무구조 개선효과는 미흡하다"며 "그룹 유동성 확보 및 재무건전성 제고를 위해 미얀마 가스전 매각 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미얀마 가스전의 수익성 대비 기업가치 저평가가 심화돼 있다는 내용도 담겼다. 대우인터내셔널 매각가치는 5조4000억원(가스전 3.7조원+상사 3.2조원+기타 0.6조원-순부채 2.1조원)인데 미얀마 가스전을 매각하면 가스전(3.7조원) 가치에 포스코의 지분율(60.3%)을 고려할 경우 총 2조2000억원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설명도 추가됐다. 이를 통해 1분기 연결기준 28조원으로 증가한 포스코 차입금을 감축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분석이었다.

    그러나 동시에 대우인터 임직원 반발, 대우인터의 주가 변동이 주요 이슈로 부각될 것으로 문건은 지적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문건은 "사전 컨센서스를 통한 소통을 진행하고 매각을 통한 기업가치 향상측면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구체적으로는 미얀마 가스전이 "무역과 사업개발 등 대우인터 본원역량 집중을 위한 전략이라는 점을 설명"하면서 "미얀마 가스전을 자원개발 글로벌 메이저 기업에 매각"할 것을 대응방안으로 꼽았다.

    또 육상가스관을 선(先) 매각, 매각대금을 대우인터로 유입시키면서 거부감을 낮추는 방안도 포함됐다. 미얀마 육상가스관 보유지분 25%를 즉시 매각하는 방향이다. 이 경우 지분법 자산을 매각하는 것이므로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이 감소하지 않고 현금유입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미얀마 정부의 승인절차가 간편하고 세금부담도 적다.

    이런 방안에도 불구, 대우인터는 문건 내용이 과장되었다고 반발했고, 포스코는그룹 임원진이 교체되는 등 내홍이 불거졌다. 대응방안을 실행하기도 전에 전략이 실패한 셈이다.

    대우인터내셔널 관계자는 "매각을 끝까지 막아내겠다는 게 임직원들의 내부 분위기로, 매각이 실제로 이뤄질 경우 회사를 그만두겠다고 말하는 사람도 많다"며 추후 내부 반발이 확대될 수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밖에도 문건에는 물적분할과 인적분할 두 가지 안도 제시됐다. 물적분할은 대우인터내셔널이 100%지분을 보유한 미얀마가스전 신설법인을 설립한 뒤, 지분 100%를 매각하는 방법이다. 인적분할은 매각대상인 미얀마 가스전을 존속법인으로 하고, 기존사업군을 신설법인으로 세워 존속법인을 매각하는 방법이다.

    매각대금은 물적분할의 경우 대우인터내셔널로 유입되고, 인적분할의 경우 포스코로 유입이 되는 구조다. 또한 물적분할의 경우 미얀마정부에 대한 과세부담(최대 50%)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문건에는 "인적분할이 세금 리스크와 투자비회수 및 그룹내 무역부문 통합측면에서 유리하다"는 내용이 강조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