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구조 개선' 갈길 먼데…非철강 투자에 또 발목잡힌 포스코
입력 16.02.25 07:20|수정 16.02.25 07:20
석탄화력발전 투자자 유치 난항…계열 지원 불가피
투자자 확보하지 않은 권오준 회장, '책임 자유롭지 않다' 비판도
  • 포스코그룹이 비(非)철강 사업에 대규모 자금을 투입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외부 투자자를 찾지 못하면서 올해로 예정된 포스파워 석탄화력발전소 착공이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권오준 포스코 회장이 ‘투자자 모집에 대한 구체적 해법 마련 없이 수조원대 비철강 투자를 진행했다’는 비판과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란 의견이 나온다.

  • 포스코에너지는 최근 포스파워 지분 인수자와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프로젝트파이낸싱(PF) 투자자를 모집하고 있다.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수익성 저하·경쟁강도 심화·기타 지역 이슈 등이 겹치면서 포스코에너지는 투자자 모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화력발전소가 기저발전으로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을 시현해왔지만 준공 시점인 6~7년 뒤에는 현재와 같은 수익성 보장이 힘들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이러한 상황에서 그룹 계열사들이 먼저 나서서 전략적투자자(SI)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면 외부 재무적 투자자(FI)를 유치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룹 차원에서 당장 투자지원이 가능한 업체는 포스코(별도)·포스코건설·대우인터내셔널 정도에 불과하다. 세 업체가 보유한 현금성 자산은 지난해 3분기말 기준 각각 4조7605억원(별도)·1조5700억원(연결)·3139억원(연결) 수준이다.

    포스코그룹 한 계열사 관계자는 “세 회사는 외부 자금조달도 가능하지만 각 회사 투자자들이 계열사의 민자발전 투자에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는 것을 결코 달가워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특히 포스코건설은 비상장사이지만 사우디국부펀드(PIF)가 2대주주로 있기 때문에 계열사 투자가 쉽게 이뤄지긴 힘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 신용평가사 관계자는 “포스코에너지 입장에서는 이번 투자가 사업 다각화·투자부담 분산에 유리하지만 재무부담을 다른 계열사가 떠안게 되는 구조인 만큼 다른 업체들의 신인도에는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룹 차원에서의 재무분담 가능성이 커지면서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투자결정에 대한 책임론과 비판을 피하기 힘들다는 분석이다. 총 투자비용이 4조5000억원대에 이르는 대규모 투자임에도 투자자 확보방안을 확실하게 마련하지 않아 다른 계열사로 부담이 전이될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전임 회장들이 공격적으로 투자에 나섰던 것과 비교하면 권오준 회장의 투자기조는 보수적인 편인 건 맞다”면서도 “이번 투자처럼 비철강 사업에 대규모 자금이 투입되고 계열사간 신용위험 공유 가능성이 커지게 된 점은 과거 회장들의 행적과 크게 다르지 않은 점”이라고 지적했다.

    일각에선 포스코가 ‘주인이 없는 회사'이기 때문에 이러한 투자가 반복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내놓는다.

    포스코 출신의 철강업계 관계자는 “정부(국민연금)가 포스코의 최대주주인 만큼 민간기업에서는 생각할 수 없는 허술한 투자나, 개인 치적을 쌓기 위한 투자 등이 쉽게 이뤄지는 것 같다”며 “포스코가 추진하는 외적 구조조정과 함께, 방만한 경영기조·뿌리깊은 ‘공무원적’ 마인드 등 내적으로도 개선돼야 할 점이 많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