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20일만 기다리는 금융투자업계?
입력 17.01.17 07:00|수정 17.01.17 11:10
금리 오르면 은행으로 자금 이동 우려
'트럼프 효과' 얼마나 빠를까 관심 집중
"채권 듀레이션 축소하고 기다리는 중"
  • 증권가의 시선이 달력에 집중돼 있다. 올 한 해 금리와 환율 움직임이 예상과 달라질 수 있다는 불확실성 때문이다. 금리 인상 여부가 연초에 결정되지는 않지만, 분위기 파악을 위해 오는 2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일과 3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첫 회의일만 기다리는 상황이다.

    최대 관심사는 금리다. 지난 해 말 트럼프 당선 직후에는 금리 인상 속도가 예상보다 빠를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트럼프 당선인이 강력한 감세와 재정 지출 확대를 시사했기 때문이다. 미국 경기 회복세에 발맞춘 점진적인 금리 인상을 기대했던 터라,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치솟는 등 국제 금융 시장은 요동쳤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약간 다른 분위기가 감지된다. 금리 인상을 가속화하기 어렵다는 관측이다. 금리 상승으로 나타나는 강(强)달러 현상은 트럼프노믹스(Trumpnomics)의 주요 정책 중 하나인 보호무역에 부정적이다. 연방준비제도(Fed) 인사들이 여러 자리에서 금리 인상에 대해 엇갈린 전망을 제시해 혼란이 가중됐다.

    국내에서도 금리 인상 폭이 가파르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 증권사 채권 담당 연구원은 "Fed는 당초 계획대로 기준금리를 세 차례나 인상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트럼프 행정부는 달러 약세 전략을 취할 가능성이 높아 금리 인상세가 가파르기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른 자산운용사 채권 운용역 역시 "시나리오를 구성해본 결과 올해 고점은 작년 말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적어도 올해에는 금리에 미칠 '트럼프 효과'가 그리 강하지 않을 수 있다"면서 "올해 10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작년 12월 초 고점을 크게 초과해 오르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지난 해 바닥을 쳤던 국제 유가도 고려 대상이다. 유가는 세계 소비자물가 결정에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금리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재정 지출을 늘리고 민간 기업의 투자 촉진 정책을 펼칠 계획인 만큼, 유가가 더 떨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신뢰가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취임 직후부터 정책을 구체화하고 적극 추진하지 않으면, 작년 말 오른 금리가 금세 원상복구될 수 있다. 재정 지출 확대를 위해서는 미 의회의 동의가 필요한데, 트럼프는 공화당 주류 세력과 갈등을 빚어 예측에 확신을 갖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한 증권사 기획 담당 임원은 "금리가 오르면 은행으로 자금 이동(Money Shift)이 예상돼 증권가는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다"면서 "현재 국내 금융투자사 운용역들은 채권 듀레이션(Duration)을 축소하고 미 정책 향방과 진행 속도가 파악되기만을 기다리는 실정"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