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정부의 탈석탄 정책에 이은 탈원전 정책을 둘러싼 논란이 일파만파 커지고 있다. 당장 신고리 원자력발전소 5·6호기의 공사가 일시적으로 중단될 예정인 가운데 여러 이해 관계자들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당장 원전 사업 주체인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에 미칠 여파에 관심도 집중되고 있다. 일단 투자 시장의 반응은 여론의 관심도에 비해 미지근한 편이다. 한수원의 자체 영업이익이 안정적이고, 무엇보다 정부의 지원 가능성이란 안전장치가 보장돼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지방자치단체와 산업계 전반, 원자력 학계뿐 아니라 정치권까지 가세해 원전 건설 중단 반대 논리를 펼치고 있다. 조만간 진행될 공청회에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기는 쉽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신고리 원전 5·6호기는 국무총리실 산하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작년 6월 승인한 국책사업으로 이미 1조6000억원을 투입했다. 공정률이 28.8%까지 달한 상황이다. 건설을 포기하면 추가 매몰 비용만 1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신고리 원전 중단이 사회적 현안으로 부각되자 한수원의 국내외 자본시장 내에서의 위상 변화에도 관심이 쏠린다.
한수원은 채권 시장의 큰 손이다. 원전 건설을 위해 해마다 수천억원, 많게는 조 단위의 채권을 발행해왔다. 과거 국내에서 첫 30년 만기의 채권을 발행하기도 했다. 해외에서는 매년 5억~10억달러의 채권을 발행하며 자금 조달의 보폭을 넓혀왔다. 정부의 공기업 부채 감축안이 추진되기 시작한 2014년 이후부턴 감소 추세다. 나머지 5개 발전 자회사(한국동서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중부발전,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부발전)들도 채권 시장의 단골 손님이다.
한수원과 같은 공기업은 통상 일반 기업이 채권 발행에 앞서 진행하는 수요예측의 과정을 생략하고 일괄 신고 과정만을 거쳐 채권을 발행한다. 연초 기획재정부에 대략적인 연간 발행 규모를 신고하고, 그 범위 내에서 일상적인 자금을 저금리로 조달하게 된다.
-
이번 사태로 한수원과 발전 자회사들의 채권 발행 행태나 금리 변동 가능성에 대해 시장 관계자들은 일단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한수원이 한국전력공사의 100% 자회사라는 점이 최대 강점으로 꼽힌다. 유사시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어 이것이 반영된 한수원과 발전 자회사 6곳의 신용등급은 모두 초우량등급인 AAA다. 한국기업평가는 "정부는 한국전력공사법 및 전기사업법 등에 의해 한국전력공사의 사업성을 보장해 주고 있다"라며 "한국전력공사법에 의해 공사가 발행하는 사채의 원리금의 상환을 정부가 보증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자체 수익성도 높다. 원자력 발전의 특성상 원료비 비중이 매출의 10% 내외로 다른 화력발전 자회사(매출 규모의 60% 내외) 대비 낮아 50%를 웃도는 EBITDA(상각전영업이익) 마진을 보이고 있다.
또 다른 결정적 이유는 원전 해체가 시작된다 하더라도 꽤 오랜 기간이 걸릴 것이라는 점이다. 업계 관계자는 "탈석탄이나 탈원전 정책이 급진적으로 진행될 수 없는 정책이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투자자들이 체감하는 여파의 세기가 강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수원과 5개 발전 자회사가 추진 중이었던 기업공개(IPO)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감은 진작에 낮아진 상황이다. 공기업 민영화를 목표로 추진 중이었던 이들 발전 자회사의 상장 작업은 탈석탄 정책이 국가적 현안이 떠오르자마자 모두 중단됐다. 기획재정부는 지난해 발전 자회사를 순차적으로 상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7년 07월 16일 09:00 게재]
한수원 채권 발행·IPO 추진 '유탄' 맞나
투자업계 "당장 큰 여파는 없다"
투자업계 "당장 큰 여파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