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투자업계가 지식재산권(IP)에 주목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 육성 의지가 강한 정부가 금융권을 통한 초기 기업의 자금 조달을 장려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특허청은 이달 초 4차 산업혁명 시대 지식재산 정책 방향을 수립, 발표했다. 혁신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새 지식재산 창출을 견인, 무역 흑자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금융 지원책도 내놨다. 현재 3500억원 규모에 불과한 IP 금융 시장을 오는 2022년까지 1조원 규모로 키우겠다는 계획이다.
IP 금융을 취급하는 금융회사 수를 늘리고, 특허권 수준에 머무르는 IP 투자 대상을 상표·디자인 등으로 확대한다. 민간 영역의 IP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관련 펀드도 조성하기로 했다. 벤처캐피털(VC) 펀드가 IP에 투자, 소유할 수 있도록 산업재산권법도 개정할 예정이다.
국내 IP 금융 시장은 여전히 담보 대출 중심이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기준 국내 은행권의 기술신용대출 누적 잔액은 116조7000억원이다. 그나마도 기술보증기금 보증 등 정책성 자금이 대부분이다. IP 투자형 자금은 규모가 더 작다. 작년 10월 말 기준 2조4000억원 규모의 모태펀드 정도가 대표적이다.
관련 업계에서는 초대형 투자은행(IB) 출범과 맞물려 담보 대출에서 지분(equity) 및 메자닌(mezzanine) 투자로 IP 금융 시장의 저변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발행어음 인가를 전후로 투자 심사역 채용에 한창인 초대형 IB도 담보가 아닌 투자에 무게를 두고 여러 영역에서 다양한 경험을 갖춘 인력을 충원하고 있다.
프랜차이즈 기업의 상표권이나 연예 기획사가 보유한 아티스트 IP 등이 우선 고려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산업으로 자리 잡았고 인지도도 높아 가치 평가(valuation) 및 투자 유치가 상대적으로 용이해서다. 실제로 지난 해 말에는 KDB산업은행 벤처기술금융실이 복수의 유명 작곡가 음악 저작권을 기초 자산으로 40억원을 조성하기도 했다.
시중은행도 구조화금융 관련 부서를 중심으로 국내·외 IP 유동화 사례를 기반으로 사업성을 따져보고 있다는 전언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IP 유동화가 국내에서 적극적으로 거론되기 시작한지는 10년이 채 안 됐지만, 최근 정부의 중소·벤처기업 지원 정책에 힘입어 은행의 새 '먹거리' 중 하나가 될 것 같다"면서 "대형 연예 기획사의 아이돌 그룹을 묶어 이들의 매출액을 유동화하는 상품 등을 검토할 수 있다"고 전했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7년 11월 20일 09:32 게재]
정부, IP 창출 위해 금융 지원 확대
담보 대출 위주에서 투자로 바뀔까
프랜차이즈 상표권·K-pop 등 검토
먹거리 찾는 시중은행도 IP에 주목
담보 대출 위주에서 투자로 바뀔까
프랜차이즈 상표권·K-pop 등 검토
먹거리 찾는 시중은행도 IP에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