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산업개발이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을 완료했다. 재상장 당일 분할한 사업회사의 주가가 큰 폭으로 오르면서 기존 투자자들의 수익도 크게 늘어나게 됐다. 지주회사 전환 후 단기간에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점에서 기관투자가들은 재상장을 앞둔 효성과 세아제강에 주목하고 있다.
현대산업개발은 지난 12일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마치고, HDC(존속회사·지주회사)와 HDC현대산업개발(분할회사·사업회사)의 재상장을 완료했다. 거래 첫날 HDC현대산업개발의 주가는 50% 이상 급등하며 장 마감했다.
-
기존 옛 현대산업개발의 시가총액은 3조5000억원 수준이었으나 재상장 이후 양사의 합산 시가총액은 25%가량 증가한 4조3000억원에 달했다. 기존 현대산업개발의 주식 1주를 보유하고 있는 주주는 HDC 주식 0.42주와 HDC현대산업개발 주식 0.58주를 각각 받았다. 각 회사에 대한 보유 지분율은 변동이 없다. 지난 15일까지 양사의 합산 시가총액은 약 4조원으로 여전히 분할 전 회사의 시가총액을 상회하고 있다.
국내 기관투자가 한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회사 분할 후 가치평가를 더 잘 받는 경우가 많다"며 "사업회사는 하나의 회사로 묶여 있을 때보다 독립성 및 사업 성장성을 인정받게 되고, 지주회사의 경우 보유 자산가치를 인정받게 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일부 국내 기관투자가들은 지주회사 전환 및 재상장을 앞둔 기업들에 주목하고 있다. 효성과 세아제강이 대표적이다.
-
효성은 지난 1일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완료했다. 기존 시가총액은 약 4조7000억원 수준이다. 현재는 거래정지 상태로 주식매매는 불가능하다.
세아제강은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위한 주주총회를 내달 27일 연다. 시가총액 5500억원 수준인 세아제강을 지주회사인 세아제강홀딩스와 사업회사인 세아제강으로 인적분할 하는 게 핵심이다. 기존주주는 세아제강홀딩스 주식 0.53주를, 세아제강 주식 0.47주를 부여 받는다.
국내 자산운용사 주식운용 한 관계자는 "효성은 이미 많은 기관투자가들이 포트폴리오에 담아두고 재상장을 기다리고 있고, 세아제강의 경우엔 주가 추이를 지켜보며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며 " 지주회사 전환을 앞둔 회사들에 대한 일종의 이벤트 성 거래로 볼 수 있다"고 했다.
-
이 같은 기관들의 관심이 장기적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라는 평가가 나온다. 지주회사의 경우 뚜렷한 사업적인 성장세를 보이기 어려울 뿐 아니라, 주가 또한 사업회사의 실적에 좌우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재상장 첫날 지주회사인 HDC의 주가는 큰 폭으로 하락, 사업회사인 HDC현대산업개발의 주가는 급등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투자은행(IB) 업계 한 관계자는 "투자사업이 주력인 지주회사의 경우 거버넌스와 투자자산 가치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있을 수는 있는 반면 정부의 규제와 오너리스크 등 대외환경에 노출돼 있어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기관이 늘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이 같은 투자심리는 지주회사 전환을 마친 각 기업들의 중장기적 주가 추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8년 06월 18일 09:00 게재]
시가총액 3.5조서 분할후 4조3000억으로 '껑충'
수익낸 기관들, 다음 지주사 전환에 '관심'
지주회사·사업회사 엇갈린 주가 방향
"지주사 투자 심리 중장기 주가 반영"전망도
수익낸 기관들, 다음 지주사 전환에 '관심'
지주회사·사업회사 엇갈린 주가 방향
"지주사 투자 심리 중장기 주가 반영"전망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