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넥슨 매각 절차가 본격화되며 협상장 밖 변수들도 거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해외 매각으로 인한 자산 유출 우려‧국내 고용 유지‧김정주 회장 개인 세금 문제 등 여러 논란도 점차 수면위로 오르는 모양새다.
무엇보다 김정주 회장의 '거래 완주'를 둔 전망도 M&A 업계에선 화제거리다. 다만 지금까지 거래 절차와 진행 상황을 고려했을 때, 김 회장의 매각 의사가 확고한 만큼 갑작스러운 중단보다 어떤 식으로든 거래진행에 대한 의지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들어 넥슨 매각을 둘러싸고 관심을 끈 이슈 중 하나는 검찰 수사다. 시민단체인 투기자본감시센터는 12일 넥슨의 창업주인 김정주 NXC 대표가 1조5660억원의 조세포탈을 저지른 의혹이 있다며 서울중앙지검에 김 대표와 NXC 등을 재고발했다. 투기자본감시센터는 지난 2016년에도 ▲NXC의 조세포탈 및 현물출자를 이용한 조세포탈 ▲NXC의 자기주식 소각과 김정주 등의 소득세포탈 등 유사한 혐의를 이유로 김 회장과 NXC를 고발한 바 있다.
NXC는 “이미 과거 고발 당시에도 서울중앙지검이 지난해 하반기 불기소 처분을 내리며 재판조차 진행되지 않은 사안들”이란 입장이다.
매각 소식이 나온 직후에도 거래 규모 탓에 넥슨과 김정주 회장은 화제의 중심에 섰다. 지난달엔 국회에서 넥슨 매각 사태를 둔 토론회가 열리는 등 정치권의 관심이 쏟아지기도 했다.
산업 내 선두 업체의 전격적인 매각 결정 사례가 극히 드문 데다 여파 자체도 큰 만큼 정부 차원의 점검도 이어질 전망이다. 넥슨은 국내 게임 수출액의 20%(지난 2017년 기준) 이상을 차지하는 국내 선두 업체인 데다 국내에서 고용 인력만 6000여명에 육박한다. 특히 해외 인수 후보도 언제든 참여할 수 있는 공개 매각을 진행하는 만큼 해외 유출에 대한 사전 점검도 이어질 수 있다.
입찰 진행 과정에서 정부가 규제 등을 활용해 간접적으로 개입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히 게임업계는 현재 정부와 온라인게임 결제 한도 폐지·셧다운제 등 향후 수익과 직결되는 현안을 논의 중인 상황. 협의 방향에 따라 거래 과정은 물론 인수자의 의사에도 일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거래 측면에 큰 영향을 끼칠 변수는 조세(Tax) 차원의 문제다. 단순히 거래 성사 이후 차익에 대한 개인의 과세문제뿐 아니라 설립 이후 현재까지 빠진 법인세 현황 등 사업과 관련한 세금 전반이 당국의 검토 대상에 오를 수 있다는 지적이다.
투자업계 관계자는 "중견‧중소 기업 오너들이 PEF 등에 회사를 매각하는 경우에도 과세 신고 등 문제로 고생하는 일이 태반"이라며 "하물며 15조에 달하는 거래에서 거래 진행 중 뿐 아니라 종결 후에도 세금 문제에 골치를 썩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
논란들이 매각 뿐 아니라 김 회장 개인에 대한 전방위적 공세로까지 이어지면서 업계에선 실제 거래 완주 여부에 대한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일부 인수 후보들도 현재까지 거래 구조 마련 혹은 인수금융을 위한 금융사 접촉 등 거래 전반에 대한 절차와 동시에 외부 동향에 대한 컨설팅도 따로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이번 거래에 밀접한 관계자들 사이에선 김정주 회장이 이미 오래전부터 매각을 결심한 만큼 이런 제반 상황들을 충분히 고려해 두었을 것이란 시각이 우세하다. 즉 거래의 완주 가능성은 현재까지로서는 높다는 전언이다.
이번 거래 시작 이전부터 무엇보다 조세(Tax) 문제에 가장 공을 들인 점이 대표적이다. 일부 투자은행(IB) 등 이 부분에 자문을 도운 곳들이 매각 작업에도 손발을 맞추는 상황이기도 하다. 실질적인 매각 대상 선정 및 매각 구조, NXC 제주도 법인 내 2조5000억원 규모 현금의 이전 방안 등 민감할 수 있는 사안들에 대한 컨설팅도 마친 상황이다.
무엇보다 이토록 큰 규모의 거래를 진행하면서 '공개 매각'을 선택한 방식 자체가 김 의장의 의중을 분명히 드러낸 것이란 평가도 나온다.
이른바 3N(넥슨·넷마블·NC소프트) 경영을 이끄는 경영진을 포함한 게임업계는 개인 네트워크를 통해 공동투자 또는 인수를 제안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매각으로 인한 잡음을 최소화하며 사업에서 손을 떼는 '그림'을 만들기도 유리하다.
하지만 김 회장이 애초부터 미국과 일본 등 해외에서 시작한 '글로벌 거래'로 이번 거래를 유도한 점 자체가 '최고가 매각'에 초점을 정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일부 국내 자문사도 업무를 돕고 있지만, 실무 작업은 현재 도이치증권 뉴욕 오피스와 모건스탠리 멘로파크(Menlo Park) 오피스에서 이뤄지고 있다. 넥슨 내에서도 한국 법인이 아닌 일본 본사 내 일부 인원이 매각을 담당한다. 초기엔 KKR·TPG·실버레이크·베인캐피탈 등 글로벌 PEF 등에 티저 레터가 발송되며 진행됐다.
김 회장도 신규 법인을 설립해 본인이 NXC를 통해 투자한 비게임사업을 이전해 오는 등 본인이 공표한 '제 2의 꿈'을 위한 제반 작업을 진행 중이다. 신규 법인을 국내에 둘 지 해외에 둘 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국내에서도 일부 공익 사업 등은 유지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한 IB업계 관계자는 "매각주관사를 포함한 해외 IB, 글로벌 인수 후보 사이에선 위법 사항 없이도 매각을 두고 국내에서 논란이 일고 왜 거래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 자체를 못할 수 있다"며 "매각자와 매각 자문사의 거래 성사 의지가 강하다면 개인의 재산권 행사를 국가가 막을 명분을 만들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9년 02월 21일 18:18 게재]
검찰 조사·정치권 개입·세금 이슈 등 협상장 밖 변수 거론
매각 완주 둔 불확실성으로 거론
실제 영향 '미미' 분석도…"예고된 리스크들"
김 회장 방어 공들인 부분도 '세금(Tax)'
매각 완주 둔 불확실성으로 거론
실제 영향 '미미' 분석도…"예고된 리스크들"
김 회장 방어 공들인 부분도 '세금(Ta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