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모빌리티가 본격적인 상장 절차에 나선다. 이르면 내년 증시에 입성할 전망이다. 다만 모빌리티 플랫폼 선도를 위한 가능성을 증명하기까지는 갈 길이 멀다는 지적도 나온다. 모빌리티 사업 특성상 당장 수익성을 담보하기는 어려운 만큼 성장성 입증은 카카오모빌리티의 숙명으로 꼽힌다.
23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날 오후 최근 국내외 주요 증권사에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보낼 예정이다. 이르면 다음 달 주관사 선정 절차를 마무리하고 본격적인 상장 준비에 시동을 건다.
지난 몇 개월 간 투자은행(IB)업계에서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상장을 위해 곧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돌린다는 소문이 파다했다. 2017년 사모펀드 TPG컨소시엄으로부터 투자를 받을 당시 2022년으로 기업공개(IPO) 시점을 약속한 바 있다. 이 때문에 최근 백지화가 된 카카오모빌리티의 요금 인상 계획 역시 상장을 염두에 둔 포석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상장 절차에 착수하긴 했지만, 성공적인 상장까진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지적도 나온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택시 호출 시장을 선점하는 데 성공했지만, 수익화에는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최근 호출 요금을 올리려 했다가 여론의 반발에 직면한 게 대표적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최근 LG로부터 약 1000억원, GS칼텍스와 GS에너지로부터 약 300억원을 투자받았다. 주요 목적은 사업적 시너지 효과다. GS 계열사의 주유소, LPG 충전소 등으로 오프라인 모빌리티 거점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전기차 배터리 등 전장사업에 집중하는 LG그룹과 사업적 협력도 예고하고 있다.
여전히 카카오모빌리티의 본업은 택시, 전기자전거 등 이동수단 관련 사업이다. 전기차 배터리나 주유소 등과 접점은 있지만 당장 수익에 도움이 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때문에 상장 작업의 핵심인 에쿼티 스토리를 만들기에는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나온다.
또 카카오모빌리티가 최근 공을 들이는 대리운전 플랫폼이나 주차장 서비스, 카셰어링 부문 역시 걸음마 단계다. 현재로서는 '모빌리티'라는 키워드로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지만 이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꿰뚫는 것은 장기적인 과정일 수밖에 없다.
한 IB업계 관계자는 “플랫폼 사업은 기본적으로 수익성보다는 성장성을 내세워 기업공개를 추진해야 하는 만큼 에쿼티 스토리가 가장 중요하다”라며 “카카오모빌리티가 다양한 투자자를 새로 유치하고 투자금을 소진하는 과정에서 대중에 어필할 만한 요소를 찾아내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상장은 제쳐두고 본업인 택시 중개 서비스에서 내실을 다져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요금 인상을 두고 발생했던 논란 역시 이를 뒷받침한다는 시각이다. 카카오 택시는 단순 ‘중개업’을 넘어서는 서비스를 제공하지는 못한다는 지적을 받는다.
언제 어디서나 부르면 온다는 편의성은 탄력 요금제 이슈에 가로 막혀있고, 탑승 경험 역시 아직까지는 웃돈을 줄 정도로 고객의 인정을 받지는 못하는 모양새다. 모빌리티 플랫폼 서비스는 대체 가능한 선택안이 많다. 소비자들이 언제든지 ‘바꿔 탈’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의미다. 결국 대중이 진정으로 불편함을 느끼는 부분을 해소하지 못한다면 언제든 외면당할 가능성이 크다.
더욱이 공모 시장에서는 대중의 평판이 중요한 만큼 카카오모빌리티가 상장을 앞두고 택시 서비스에서 ‘충성 고객’을 확보하는 것은 가장 큰 과제로 꼽힌다. 이를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수익 모델을 창출하는 것 역시 카카오모빌리티가 당면한 숙제다.
모빌리티 업계 한 관계자는 “카카오T나 우티 등 대기업 계열의 모빌리티 플랫폼은 자금력이 풍부한 만큼 사업 확장 가능성이 충분하다”면서도 “다만 현재 소비자들이 모빌리티 시장에서 느끼는 페인 포인트를 해결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당장 플랫폼 확장이야 가능하겠지만 서비스에 ‘혁신’이 있는지는 따져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23일 오후 RFP 발송 예정...국내외 주요 증권사에 배포
모빌리티 시장 선도 위한 성장성 증명까지는 갈 길 멀어
모빌리티 시장 선도 위한 성장성 증명까지는 갈 길 멀어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1년 08월 23일 14:51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