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미술품, 음원, 지식재산권(IP) 등 비정형화된 자산을 소액으로 사고파는 조각 투자가 내년부터 활성화될 전망이다. 금융당국이 제도권 밖에 있던 디지털 증권, 즉 토큰 증권(ST)의 발행과 유통(STO)을 허용하기로 하고 합법화에 나섰기 때문이다.
이에 증권업계에선 토큰 증권 거래를 위한 플랫폼 구축에 분주하다. 조각 투자 시장이 커지면 새로운 먹거리가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다만, 금리 인상으로 위험자산에 대한 인기가 떨어졌고 뮤직카우, 카사코리아 등 조각 투자를 서비스하고 있는 기업들의 수익성이 저조한 점은 넘어야 할 과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5일 금융위원회는 블록체인 기술 등을 접목한 디지털 증권 발행을 허용하는 '토큰 증권(ST) 발행·유통 규율체계 정비 방안'을 발표했다. 실물 자산을 증권화해 소액으로 쪼갠 토큰 증권의 발행과 유통을 본격 허용한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실물 증권과 전자 증권에 이은 새로운 형태의 발행이다.
현재 주식, 채권은 초기엔 종이증권이었고, 진화되어 전자증권 형태로 거래되고 있다. 그러나 미술품, 음원, 부동산 등 비정형화된 투자 대상을 증권화하고 사고팔기 위해 투자계약증권, 비금전신탁 수익증권 등의 발행 수요가 발생했는데 바로 '토큰 증권'이다. 현재 전자증권법은 증권을 디지털화하는 방식을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토큰 증권 발행을 위해선 법 개정이 필요한 것이다.
금융위는 토큰 증권을 전자증권법상 증권으로 인정하고 요건을 갖춘 발행인은 직접 토큰 증권을 발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요건을 갖추지 못한 소규모 발행은 증권사를 통해야 가능하다.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투자자 보호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점에서 그간 신뢰성 문제가 있던 토큰 증권의 안정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는 올해 상반기 전자증권법과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한편, 증권성을 지닌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가상자산(암호화폐)과 다르다. 금융위는 디지털 자산 중에서도 사업 운용에 대한 지분권을 갖거나 사업의 운영성과에 따른 배당권 또는 잔여재산에 대한 분배 청구권을 갖게 되는 경우', '발행인이 투자자에게 사업 성과에 따라 발생한 수익을 귀속시키는 경우'에는 증권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증권사는 토큰 증권이 신 수익원이 될 것이라 보고 시장 참여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신한투자증권은 토큰 증권 얼라이언스(민간협의체)를 구성하겠다고 6일 밝혔다. 신한투자증권은 두나무 자회사인 '람다256', 합자 법인 에이판다파트너스와 함께 함께 자체 토큰 증권 플랫폼 구축에 열을 올리고 있다.
KB증권도 토큰 증권 플랫폼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는데, 블록체인 연동 여부, 토큰 증권 발행 및 거래 테스트 등을 마쳤다고 알려진다. KB증권은 싱가포르 토큰 증권 발행 플랫폼 'ADDX'에 약 2000만달러(약266억원)를 투자하기도 했다. 키움증권은 연내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인 '영웅문S# 토큰 증권을 거래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키움증권은 일찍이 뮤직카우와 업무협약을 맺고 전략적 투자유치를 하기도 했다. 대신증권은 카사코리아 인수에 나서며 아예 조각 투자 플랫폼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다만 토큰 증권 시장 규모가 우선 커져야 하는 상황에서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하락하고 있어 수익성에 대해선 미지수라는 평가가 나온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결국 회사가 사업을 하는 이유는 '돈'인데 조각 투자 시장이 얼마짜리인지에 대해선 명확하지 않다. 다양한 상품들이 들어와 시장이 규모의 경제를 창출해야만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라며 "증권사는 이미 플랫폼이 갖춰져 있으니까 상품을 추가하는 데 드는 비용은 많지 않겠지만, 금리 인상 등으로 조각 투자 시장이 위축된 점을 생각해보면 어떻게 될지 예측하기 어렵다"라고 말했다.
결국은 토큰 증권이 돈이 될지, 그 시장이 얼마짜리인지에 대한 '확신'이 서지 않는다는 게 증권업계의 반응이다.
대체 투자 수단으로 주목받던 조각 투자 상품이지만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하며 손실을 보는 투자자도 늘고 있다. 주식이나, 코인 시장보다는 가격 변동성이 작지만 금리 인상으로 자금이탈, 가격 재조정 등의 영향은 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부동산 조각 투자 플랫폼인 카사코리아의 경우에도 현재 거래가 가능한 4개 상장 건물 모두 거래가가 공모가(5000원)를 하회하고 있다.
특히 거래량이 적어 매도가 쉽지 않다 보니 손실 폭이 더욱 커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조각 투자 시장이 예상보다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다.
아울러 대다수의 조각 투자 플랫폼이 적자를 기록 중이면서 수익 구조에 대한 증명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분석이다.
뮤직카우의 지난 2021년 매출액은 134억원으로 전년 대비 461% 늘었지만, 영업 적자도 102억원으로 두 배 가까이 불어났다. 벌어들이는 수수료 수익보다 광고선전비 등 영업비용이 더욱 큰 구조다. 미술 조각 투자 플랫폼 테사, 카사코리아 등도 최근 3개년간 매출이 성장하고는 있지만 영업손실 폭이 지속해 커지고 있다.
특히 부동산 조각 투자 플랫폼의 경우 리츠와 유사한 부분이 많아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양쪽 모두 소액으로 부동산을 소유할 수 있는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며 "부동산 조각 투자 플랫폼의 경우 부동산 매입 대금을 전액 공모로 모집하기 때문에 재무 건전성은 좋지만, 대출을 통해 레버리지를 활용하는 리츠 대비 배당수익률이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내년부터 부동산, 미술품, 음원 등에 조각 투자 활성화 전망
실물 자산 증권화해 소액으로 쪼개는 '토큰 증권' 합법화 추진
증권사, 토큰 증권 플랫폼 개발 박차…새로운 먹거리로 부상?
다만, '돈 되는 시장일까' 의문스러운 반응…조각 투자 플랫폼 적자
실물 자산 증권화해 소액으로 쪼개는 '토큰 증권' 합법화 추진
증권사, 토큰 증권 플랫폼 개발 박차…새로운 먹거리로 부상?
다만, '돈 되는 시장일까' 의문스러운 반응…조각 투자 플랫폼 적자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3년 02월 06일 16:05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