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두 방지안으로 특례상장 '고밸류' 논란 사그라들까…업계선 '실효성 의문'
입력 23.12.01 07:00
파두 사태 재발 막기 위한 상장 개선안 발표됐지만
특례상장 기업 고밸류 논란 차단은 어렵다는 평가
여전히 미래 실적 기반해 몸값 산정하고 실적 변동성 커
잠정 실적에 대한 눈높이 높아지며 주관사 업무 부담↑
  • 반도체 팹리스 업체 파두가 뻥튀기 상장 논란에 휩쌓이자 한국거래소 및 금융감독원이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IPO(기업공개) 심사를 강화하기로 했다. 상장 스케줄 사이 실적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시를 유도하기로 했다. 이번 대처가 기술특례상장 기업의 고질적인 고밸류에이션 논란을 사그라들게할지 관심이다.

    다만, 증권업계 관계자들은 미래 실적을 기반으로 기업가치를 산정하는 기술특례상장 제도상 뻥튀기 상장 비판을 원천 차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단기 실적이 아닌 미래 실적 추정치가 밸류에이션의 기준이고 실적 변동성도 크다는 지적이다. 주관사 책임이 커지며 업무 부담만 커질 수 있다는 목소리도 있다.

    지난 26일 금융감독원은 한국거래소, 금융투자협회, 주요 증권사, 코스닥협회 등과 'IPO 시장의 공정과 신뢰 제고를 위한 간담회'를 열고 현행 상장 프로세스 개선방안을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파두 사태의 주요 원인인, 상장 스케줄 사이의 실적 공백은 메우는 방법으로 의견을 모았다. 상장 심사 이후부터 상장 이전까지 기간의 매출 정보에 대해 공시하도록 유도하겠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투자자 대상 공시계획을 제출받겠다는 입장이다.

    또, IPO 증권신고서 심사 시 제출 직전 달까지의 매출액·영업손익 등(잠정 포함)이 투자위험 요소에 적절히 기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로 했다. 직전 매출을 밝히도록 하고 투자자들의 합리적 판단을 이끌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를 위한 주관사의 책임은 강화될 예정이다.

    다만, 증권업계에선 이번 개선안이 기술특례상장 기업의 부실 상장 논란을 막기에는 제한적이라고 평가한다. 당국이 내놓은 개선안은 직전 실적 공개를 통해 낙관적 실적 전망치에 맞춰져 있는 투자자들의 눈높이를 조정하겠다는 포석이지만, 당초 기술특례상장 기업은 미래 실적 추정치가 투자 기준이기 때문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파두는 직전 실적이 아닌 2024~2025년 실적 전망치를 평균해서 시가총액을 매겼고 공모가도 이 기준으로 결정됐다. 파두 투자자도 적자를 기록한 과거의 실적보다는 미래의 기술과 이를 통한 실적 확대 가능성을 보고 투자를 결정한 것 아니냐"라고 말했다. 직전 실적이 공개된다고 하더라도 실적 전망치와 실제 실적간 괴리는 반복될 수 있다는 의미다. 

    오히려 잠정 실적을 공개하는 것이 투자자 사이에서 혼선을 초래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매출이 불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기술특례상장 기업의 경우 감사인의 회사 매출 및 비용인식에 대한 생각과 회사 자체 추정치가 다른 경우가 많다는 설명이다. 이에 회사가 투자자들에 제시한 숫자가 오히려 혼란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가 반복될 수 있다. 

    기술특례상장 기업은 수익이 안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대체로 실적 변동성도 크다고 알려진다. 실적 정확성을 요구하는 당국의 분위기로 주관사의 업무 부담만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배경이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기술특례상장의 대상이 되는 기업은 매출을 추정하기가 특히 어렵다. 1000억원대 몸값으로 코스닥에 상장하는 기업은 몇십억 매출을 하기로 했다가도 바뀌는 게 일상이다"라며 "향후 주관사가 증권신고서에 월별 잠정실적을 넣어야 하는데 주관사 업무부담이 더욱 커지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개선안이 기술특례상장기업이 자체적으로 산정한 미래 실적치 및 밸류에이션을 합리적인 수준으로 끌어내릴 수 있을지에 대해선 미지수라는 평가다.

    한 증권사 IPO 관계자는 "이번 개선안은 실적을 기준으로 밸류에이션하는 기업에게는 유효하겠지만 기술평가특례상장 기업들이 밸류에이션을 높이려는 시도가 수그러들지는 지켜봐야할 것 같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