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대 2조원 규모의 새마을금고 부실채권(NPL) 매입을 추진했던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새마을금고 NPL 매입을 중단했다. 현재까지 캠코는 1조2000억원어치의 새마을금고 NPL을 매입했는데, 향후 추가 인수는 검토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연체율 관리가 중요해진 새마을금고 입장에선 예상치 못한 고민거리가 생긴 셈이다.
지난해 하반기 행정안전부와 새마을금고는 최대 3조원 규모의 새마을금고 NPL 매각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캠코가 2조원, 새마을금고의 손자회사인 MCI대부가 1조원을 매입한다는 계획이었다. 당시 새마을금고의 전체 NPL 규모는 12조6000억원에 달해, 새마을금고의 NPL을 대규모로 매각할 수 있는 통로로 캠코가 선택됐다.
캠코는 30조원 규모의 새출발기금 운용에 더해 새마을금고의 대규모 금융 지원에 나서면서 지난해만 약 2조원 규모의 공사채를 발행했다. 2021년과 2022년 각각 약 1조원의 공사채를 발행한 것과 비교하면 발행금액이 두 배가량 늘었다. 이는 정부의 지원 없이 보유 자금과 공사채 발행을 통해 재원을 마련한다는 당초 계획 때문이다.
당시 캠코가 새마을금고 NPL을 대규모로 인수하기로 결정하면서 다른 금융업계에서도 불만이 나온 것으로 전해진다.
금융업계 한 관계자는 "캠코가 무리하면서까지 2조원 규모의 새마을금고 NPL을 매입한다고 했을 때 왜 새마을금고의 편의만 봐주냐는 식의 불만이 나왔다"고 전했다.
그런데 새마을금고의 NPL 매각 플랜에 제동이 걸렸다. 캠코가 NPL 추가 매입이 없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캠코 관계자는 "현재까지 직접 매입 방식과 펀드 방식을 통해 채권액 기준 약 1조2000억원의 새마을금고 NPL을 매입했다"며 "새마을금고 채권 관련 추가 인수는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시장에선 최근 저축은행 연체율이 급등하면서 주무부처인 금융위원회가 저축은행 관리를 우선 과제로 배치하면서 새마을금고가 후순위로 밀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체 저축은행 업권의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지난해 말 7.7%로 전년 대비 3.6%포인트 급등했고, PF 연체율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금융업계 한 관계자는 "금융위원회는 현재 저축은행 연체율을 새마을금고보다 심각하게 판단해 캠코 측에 새마을금고 NPL 매입을 중단할 것을 권고했다"고 설명했다.
캠코가 NPL 매입을 중단하면서 새마을금고는 NPL 처리의 뚜렷한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새마을금고의 연체율 역시 증가 추세다. 작년 말 기준 새마을금고의 전체 연체율은 5.07%였는데, 2월 말엔 7%대까지 상승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마을금고의 NPL 매입을 주로 담당해 왔던 MCI대부는 대부업법에 따라 자기자본의 10배까지 총자산을 매입할 수 있다. 증자를 하지 않는 이상 추가 매입이 어려운 만큼 한도가 차 있는 상황이다.
새마을금고의 NPL을 전문적으로 인수·정리하는 금고자산관리회사(가칭) 설립도 추진 중이지만, 금고자산관리회사 설립의 경우 새마을금고법의 개정이 필요한 사안이라 실제 실행까지는 다소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지난해 8월 박성민 국민의힘 의원이 대표 발의한 '새마을금고법 일부개정법률안'은 지난해 11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법안심사소위에 상정됐음에도 총선 등 현안에 밀려 연기됐다. 유암코(연합자산관리)에 NPL을 매각하는 방법 또한 아직 세부사항을 논의 중이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새마을금고 NPL을 매각하기 위해 전방위적으로 고려하고 있다"며 "MCI대부를 추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유암코와의 협의 모두 진행 중이며, 캠코에 NPL을 매각하는 방법도 계속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초 2조원 계획했지만 1.2조원 매입에 그쳐
저축銀 연체율 관리 우선이라는 당국 입장 반영
마땅한 NPL 추가 매각 방안은 보이지 않아
저축銀 연체율 관리 우선이라는 당국 입장 반영
마땅한 NPL 추가 매각 방안은 보이지 않아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4년 04월 03일 07: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