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상계엄 사태가 수 시간 만에 종결되며 시장은 금세 안정을 찾았지만 그 여진은 계속될 전망이다. 한국은 이번 사태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신인도가 적잖이 훼손됐고, 글로벌 자금들이 한국에 투자하는 데 주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내년 글로벌 사모펀드(PEF) 등 대규모 해외 자금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대형 거래들의 성사 가능성도 불투명해졌다.
지난 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염 여파는 정부와 당국이 적극적인 시장 개입을 시사하면서 '해프닝' 정도로 사안이 마무리되는 모습이다. 그러나 투자 업계에선 이번 사안을 가볍게 보지 않는 분위기다. 기업들은 국가 분위기가 뒤숭숭할 때 몸을 사리는 양상을 보였다. '탄핵 정국'도 예고되는 등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무리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실제 기업들이 보던 여러 거래들이 이번 사안을 거치며 중단된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에서 느끼는 불안감은 더 크다.
국내외 자문사들은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글로벌 정세를 파악했는데 한국을 요주의 지역으로 분류했다. 대외적으로 국지적 갈등 가능성이 있다고 봤는데, 정작 실제 문제는 나라 안에서 벌어졌다. 이미 한국 투자는 위험한 것 아니냐는 인식이 드러나기도 한다. 한 M&A 업계 관계자는 "한국에 들어오려던 한 외국계 투자사가 계엄 사태를 보고 불안감을 느끼면서 거래가 무산될 뻔했다"고 말했다.
글로벌 기업과 투자사, 자문사 등은 3~4일 사이 본사와 소통하느라 외신 특파원 같은 시간을 보내야 했다. 한국 내 인력들은 안전한지부터 계엄 상황이 무엇을 뜻하는지, 한국 투자는 안전한지에 대해서 문의 메일이 쏟아져 들어왔기 때문이다. 조기에 계엄이 해제됐고, 한국의 사회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점을 설득하는 데 진땀을 빼야 했다.
표면적인 충격파는 크지 않지만 해외 투자자들의 한국에 대한 신뢰는 크게 깎일 것으로 보인다. 군대가 무력을 활용해 국회를 점거하는 모습은 여느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에서나 볼 만한 일이다. 일본, 호주와 함께 아시아에서 가장 안전한 선진국이라던 한국의 긍정적 이미지가 크게 희석될 수밖에 없다.
한국이 예측이 어려운 곳이란 인식이 생기면 해외 투자사는 더 보수적인 시각을 들이댈 가능성이 크다. 글로벌 PEF들은 계엄 사태 전까지만 해도 풍부한 드라이파우더와 유리한 환율 조건 때문에 한국 시장 투자를 적극 검토하는 분위기였는데 이제는 투심위의 장벽을 더 높일 수밖에 없다. 원달러 환율 급등은 우호적 여건이 아니라 불확실성의 상징이 됐다.
내년 대기업들은 경기 부진 상황에서 각종 자산과 사업부를 팔아 유동성을 마련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CJ제일제당의 바이오사업, 롯데렌탈 등이 매물로 나와 있고 그 외에도 잠재 매물들이 산적해 있다. 남의 비주력 사업을 사줄 기업은 많지 않기 때문에 결국 대형 PEF의 손을 빌 수밖에 없다.
글로벌 PEF가 한국에 깐깐한 잣대를 들이대면 대기업 발 거래의 흥행은 불투명해지고 결국 거래 규모도 줄어들게 된다. 글로벌 PEF들은 지난 수년간 유의미한 수익률보다는 투자 수수료를 챙기는 데 집중하는 소극적인 투자 전략을 펴 왔다. 계엄 사태에 이어 탄핵 정국에 접어들면 대기업발 자산을 받아주는 것을 더 주저할 수밖에 없다.
한 글로벌 PEF 관계자는 "본사에서 후진국 군사 쿠데타와 같은 일이 어떻게 한국에서 벌어질 수 있느냐며 깜짝 놀란 분위기"라며 "한국의 대외 신인도 하락 위험이 심각해졌기 때문에 앞으로 한국에 투자하기는 힘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비상계엄 조기 해제…해프닝으로 마무리
시장 평온 찾았지만 대외 신인도는 타격
글로벌 PEF 한국 투자 장벽 높일 가능성
유동성 필요한 대기업 거래 차질 빚을 듯
시장 평온 찾았지만 대외 신인도는 타격
글로벌 PEF 한국 투자 장벽 높일 가능성
유동성 필요한 대기업 거래 차질 빚을 듯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4년 12월 05일 16:01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