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BK기업은행이 880억원 규모의 부당대출 사고와 관련해 향후 모든 대출마다 '부당대출 방지 확인서'를 작성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승인여신 점검 조직을 신설해 영업과 심사를 분리하는 등 내부통제 쇄신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이날 본점에서 전 임원을 비롯한 주요 간부 전원이 참석한 확대간부회의를 열고 김성태 IBK기업은행장의 대국민 사과 및 쇄신 계획을 발표했다.
김 행장은 "이번 일로 IBK에 실망했을 고객님과 국민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금감원의 감사 결과를 철저한 반성의 기회로 삼아 빈틈없는 후속조치와 재발방지 대책 마련 등 신뢰 회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기업은행은 이번 사태의 원인이 내부통제와 업무 프로세스의 빈틈, 시스템의 취약점과 함께 부당한 지시 등 불합리한 조직문화에 있다고 보고 업무 프로세스와 내부통제, 조직문화 전반에 강도 높은 쇄신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먼저 부당대출 발생을 차단하기 위해 임직원 친인척 정보 DB를 구축한다. 또 모든 대출이 이뤄질 때마다 담당직원과 심사역으로부터 부당대출 방지 확인서를 받고, 승인여신 점검 조직을 신설해 영업과 심사업무를 분리하겠다는 방침이다.
기업은행은 또 부당지시자를 엄벌하고 부당지시에 이행한 직원도 처벌키로 했다. 또 독립적인 내부자신고 채널을 신설해 내부고발자에 대한 불이익을 차단하고 자진신고자 면책 조치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 25일 브리핑을 열고 기업은행 전·현직 임직원이 연루된 882억원 규모의 부당대출 혐의를 적발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기업은행 내부에서 비위행위 조사를 담당하는 부서가 임직원 비위 사실을 알면서도 내부적으로 은폐하려 했고, 관련 문서와 기록을 삭제해 사건 축소를 시도하는 등 내부통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부당대출 규모 또한 앞서 기업은행이 내부감사 결과로 금감원에 신고한 240억원보다 546억원 많은 88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발표했다.
이세훈 금감원 수석부원장은 지난 25일 열린 브리핑에서 "모 은행의 전직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 건을 포함해서 여러 내부통제 실패 사례가 있었다"며 "이후 여러 감찰을 통해 금융회사 내부통제 관리 의식이 소홀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중점적인 점검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금감원, 25일 기업은행 등 금융사 검사 결과 브리핑
은행 내부서 사고 은폐·축소 혐의…"내부통제 소홀"
기업은행, 은행장 사과 및 내부통제 쇄신 방안 발표
부당대출 방지확인서 전 대출 적용 및 신규 조직 신설
은행 내부서 사고 은폐·축소 혐의…"내부통제 소홀"
기업은행, 은행장 사과 및 내부통제 쇄신 방안 발표
부당대출 방지확인서 전 대출 적용 및 신규 조직 신설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5년 03월 26일 15:4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