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최 회장 사면결정 직후 합작법인·M&A 성과 발표
-
최태원 SK그룹 회장(사진)이 돌아온다. 답보상태에 빠진 SK그룹의 성장세를 다시 끌어올려야 한다는 과제가 이미 놓여져 있는 상황이다. 시장에선 투자 및 인수·합병(M&A) 등으로 통해 성장동력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각이 크다.
최 회장이 자리를 비운 동안 SK그룹의 성장세는 주춤했다. 지난해 SK그룹의 매출(82개 계열사 합산)은 165조4690억원으로 최 회장 공백 직전인 2012년보다 7조원가량 늘었다. 같은 기간 SK하이닉스의 매출 증가분과 거의 같다. 새 식구인 SK하이닉스 홀로 분전한 채 나머지 사업 대부분이 제자리를 걷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주력사업인 정유·화학과 통신의 성장정체가 컸다. SK이노베이션은 올해 들어 저유가 기조 속 정제마진 개선 및 주요제품 스프레드 개선 등으로 수익성은 확연히 회복됐으나, 회사의 외형은 계속 줄고 있다. SK텔레콤도 롱텀에볼루션(LTE)이 보편화 된 이후 2~3년간 외형과 수익성 모두 성장세가 꺾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SK네트웍스·SK E&S·SK건설·SK해운 등 다른 계열사들도 크게 다르지 않다.
한 때 M&A는 SK그룹의 성장 자양분이었지만 최 회장 공백기 동안엔 명함도 못 내밀고 있다. STX에너지(現GS이앤알)와 ADT캡스는 중도에 인수의사를 접었고, KT렌탈 인수전에서 롯데에 밀렸다. 야심차게 준비한 시내면세점 사업자 선정에서도 고배를 마셨다. 수펙스(SUPEX)추구협의회가 그룹을 안정적으로 이끌어오긴 했으나 최 회장의 장기공백을 완벽히 만회하진 못한다는 평가가 꾸준히 이어졌다.
SK그룹의 가장 큰 과제는 '반전의 카드를 꺼낼 수 있냐'로 모아진다. 최 회장에게 특별사면과 함께 특별복권까지 이뤄지면서 주요 계열사의 등기이사로 복귀할 수 있게 됐다. 이제 이를 계기로 SK그룹이 여러 성장전략을 갖고 있고, 실현 가능성도 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줘야 할 때가 됐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최 회장의 복귀로 각종 사업확장을 위한 작업들을 적극적으로 진행하는 걸 보여줘야 한다”며 “한화도 김승연 회장이 돌아오자마자 삼성과의 빅딜, 이라크 신도시 건설 수주 등 사업확장에 무게를 뒀다”고 설명했다.
-
그간 미뤄졌던 투자들이 가시화할 가능성이 커졌다. 합병을 통해 사업형 지주사로 거듭난 SK㈜의 자체사업들이 그 대상으로 거론된다.
SK㈜는 최 회장의 사면이 확정되자마자 대만 훙하이(鴻海) 그룹과의 IT서비스사업 관련 합작법인 설립을 발표했다. 동시에 홍콩 스마트센서·IoT(사물인터넷) 부품제조사인 '다이와어소시에이트홀딩스' 인수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최 회장의 '컴백'과 함께 그동안 물밑에서 진행해 온 사업 성과들을 하나 둘 내놨다.
지난 6월 SK㈜는 SK C&C와의 합병을 앞두고 반도체소재·모듈사업 및 바이오·제약사업(SK바이오팜)과 관련해서 M&A 계획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회사는 배당성향 30%를 공식화한 상태로, 앞으로 신규투자는 배당금을 제외한 내부현금으로 하겠다는 입장이다. SK㈜의 연간 현금흐름이 1조원이 넘는다는 걸 감안하면 투자규모가 적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성장동력을 찾겠다는 의지”라며 “동시에 투자자들한테도 일정 수준 보상이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잠잠했던 SK텔레콤도 본격적으로 사업확장에 나설 것이란 시각이 크다. SK텔레콤은 올초 장동현 사장이 취임한 직후 기업가치 100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내놓은 상태다. 지금까지는 SK브로드밴드 자회사 편입을 비롯한 통신사업 재편 외엔 별다른 움직임이 없었다.
업계 관계자는 “SK텔레콤은 상반기 내로 결정하겠다던 배당정책조차 아직 결제가 안 난 상황”이라며 “이제는 이를 포함해 각종 투자나 M&A 결정 등 모양새가 있는 뭔가를 보여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5년 08월 16일 09: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