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플랜트 부문 포기보다 포트폴리오 통한 야드 가동률 높여야"
-
조선업계의 수익성 부진이 내년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향후 공정 진행에 따라 원가율이 추가로 상승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한국기업평가(이하 한기평)는 26일 이슈리포트를 통해 “2016년까지 조선사 실적 저하 주요 요인인 공정 과부하가 크게 해소되기 어려울 것”이라며 “조선업계의 수익성 회복이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조선업계의 대규모 손실 원인으로 과거 저가 수주경쟁과 이로 인한 공정과부하가 꼽힌다. 한기평은 올해 6월 말 기준 예정원가율이 계약금액을 초과하는 프로젝트를 손실 프로젝트로 정의했다. 분석결과 손실 프로젝트 중 2013년 수주된 프로젝트가 가장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당시 조선사들의 경쟁이 격화하면서 높은 유가로 수요가 증가한 해양플랜트 수주경쟁이 심화됐다.
한기평은 “수주 경쟁 부작용으로 해양플랜트 부문뿐만 아니라 상선 부문의 저가수주와 공정부담으로 이어졌다”며 “해양플랜트 부문의 공정 과부하가 상선부문으로 전이되면서 낮은 마진으로 수주한 선박들의 원가 상승에 따른 손실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
공정과부하는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미손실 프로젝트의 평균 진행률이 손실프로젝트들의 평균진행률보다 낮은 수준인 점은 원가율 추가 상승 가능성을 키우고 있다. 과거 공정 경험이 많지 않은 해양플랜트 공사를 중심으로 단기간 10% 이상 원가율이 상승하는 등 정상프로젝트들이 손실프로젝트로 전락하는 경우도 발견된 만큼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위험 부담이 높은 해양·플랜트 부문의 포기여부에 대해선 포트폴리오를 통해 야드 가동률을 높이는 것이 해법으로 제시됐다. 조선업의 생산능력이 확장된 상황에서 해양플랜트 부문을 포기한다면 상선으로만 물량을 확보해야 한다. 상선 수주가 순조롭지 않은 상황에서 해양부문 포기에 따른 야드 가동률 저하는 고정비 상승으로 이어진다. 야드 가동률 저하를 막기 위해선 대규모 수주가 이뤄져야 하는데, 이는 수주경쟁과 저가계약을 불러온다는 논리다.
서강민 한기평 연구원은 “단기간에 생산설비를 조정할 수 없다면 해양부문 포트폴리오를 통해 야드 가동률을 높이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선택”이라며 “대형 해양플랜트 프로젝트에서 담합과 같은 불법적 협력은 불가하더라도 적정 마진 확보를 위한 최소한 경쟁질서는 확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5년 08월 26일 10:23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