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방송법 개정·공정위 결정 반대여론이 변수
-
LG유플러스가 케이블 업체 M&A 추진을 공식화했다. KT와 공동으로 SK텔레콤-CJ헬로비전 합병 반대 전선을 짰던 LG유플러스 입장에선 두 달만의 입장선회다. 통신 3위 업체 입장에서 ‘반전’을 노릴 카드는 결국 M&A 밖에 없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은 23일 진행된 CEO 기자간담회에서 향후 M&A 계획을 묻는 질문에 “IPTV사업자가 종합유선방송사업(MSO) 회사를 인수할 법적 근거가 마련된다면 긍정적으로 (M&A)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룹 내에서 M&A를 담당하던 김용환 상무를 상근 자문으로 파견해 내부 전담 팀도 꾸린 것으로 알려졌다.
권 부회장은 "(SK텔레콤의 M&A 무산은) 절차가 잘못됐었기 때문”이라며 “통합방송법 개정 이후 유관기관인 공정거래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와 충분히 논의해 추진할 것이므로 전철을 밟진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장에서는 LG유플러스가 크게 두가지 축의 M&A 전략을 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합병이 무산된 SKT와 LG유플러스의 시장 지위가 다른 점을 활용하고 ▲케이블 업체들의 고사 위기에서 결국 M&A가 해법일 수 밖에 없다는 논리를 펼 것이란 예상이다.
한 증권사 통신 담당 연구원은 "반대 당시 무선 1위업체인 SKT가 유선도 독점하는게 맞냐는 반대 주장을 폈다고 가정한다면, LG유플러스는 무선 3위 사업자이기 때문에 유선사업 강화를 위한 M&A는 결이 다르다는 주장을 펼 것으로 예상된다”며 “유관기관과 논의해 추진하겠다는 말 속에서도 케이블 업계의 구조조정 당위성이 부각되고 어느정도 여론이 우호적인 시기를 지켜보겠다는 의도가 엿보인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단기 인수에 나서기 보단, 시장에 '군불'을 떼는 작업을 펼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 7월 2분기 실적발표에서 LG유플러스는 공정위의 SKT-CJ 합병 무산 결정을 환영하면서도, "규제 근거 논리인 '권역별 기준'에 대해선 고려해야할 부분이 많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당시 전국이 아닌 권역별로 점유율을 책정한 공정위 논리는 시장에 ‘이통사와 대형 케이블TV업체간 M&A를 금지한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졌다. 대부분의 유선사업체들이 지역내에서 독점 사업자로 분류 되고 있기 때문이다. LG유플러스 입장에선 공정위 결정에 대한 반대 여론이 커지고, 통합방송법 개정이 완료된 시점에 본격적인 인수를 추진할 것이란 분석이다.
당장 통신 3사 중 인수 주체가 LG유플러스밖에 남지 않은 점을 활용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유선 부문 1위 사업자인 KT는 한 유료방송 사업자가 전체 유료방송 시장에서 가입자 기준 33% 이상을 점유할 수 없도록 한 '합산 규제'가 적용돼 케이블 업체 인수가 불가능하다. CJ헬로비전 인수가 무산된 SKT 입장에서도 단기간에 M&A를 재추진하기엔 부담스러울 것이란 전망이다.
다른 증권사 통신 담당 연구원은 "3위업체인 LG유플러스 입장에서 SKT와 KT와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결국 케이블사 M&A를 통한 시장 점유율 확대라고 판단했을 것"이라며 "하지만 잠재 매물은 많고 인수후보는 LG유플러스 뿐인 상황에서, 서둘러 나서기 보단 매물 가격 하락을 기다리면서 인수 여부를 결정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설명했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6년 09월 26일 11:07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