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 주가보다 절대 희망금액 있을 듯…예가 논의도 아직
금호그룹 손실 회복·헐값 매각 논란·시장 기대치 등 염구할 듯
-
금호타이어 주가가 글로벌 수위권 타이어사의 인수전 불참으로 힘을 내지 못하고 있다. 채권단 눈높이도 함께 낮아질지는 의문이다. 그간 예비입찰을 거치며 형성된 기대감을 현실화해야 하고 시장 전망보다 크게 낮은 가격에 매각할 경우 역풍도 우려된다. 금호산업 매각 가격이 아쉬웠던 기관들엔 이번 매각이 특히 중요하다.
중국 링롱타이어와 더블스타, 지프로, 상하이 에어로스페이스 인더스트리 코퍼레이션(SAIC), 인도 아폴로타이어 등 5곳의 금호타이어 본입찰적격후보(숏리스트)들은 최근 예비실사를 마무리했다. 채권단은 12일 매각 본입찰을 진행한 후 다음달 중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금호타이어 주가는 2016년 중반 이후 매각이 본격화하며 상승했다. 글로벌 4위 타이어사 독일 콘티넨탈 참여설이 급등세에 불을 댕겼고 매각공고 전날엔 연중 최고가를 찍었다.
-
하지만 막상 경쟁 구도가 드러나자 주가는 주저앉았다. 숏리스트가 중국 업체 위주로 채워지며 글로벌 수위권 업체들이 관심을 가질 매물은 아니란 점이 드러났다. 12월29일 종가(8480원) 기준 채권단 금호타이어 매각 대상지분 42.01%의 시가는 약 5600억원이다. 30%의 경영권 프리미엄을 얹어도 7300억원 수준이다. 프리미엄 30%를 가산하면 1조원에 달하던 시기완 분위기가 달라졌다.
증권사 연구원은 “글로벌 타이어사의 참여 가능성이 거론되며 개인들이 주가를 떠받치는 형국이었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기대와 달랐다”며 “냉랭해진 한중 관계가 M&A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채권단이 주가를 감안해 눈높이를 낮춰줄 가능성은 크지 않다. 각 금융회사 별로 원하는 수준의 가격은 검토했을 것이기 때문에 주가에 연동한 금액보다는 ‘절대 금액’을 기준으로 삼으려 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금호타이어 채권단은 우리은행(지분율 14.15%), 산업은행(13.51%) 등 9개 금융회사로 이뤄져 있는데 대부분 금호그룹 구조조정 과정에서 출자전환에 참여했다. 지난해 금호산업 매각으로 대부분 회수한 곳도 있지만 손실 회복이 안 된 곳도 있다. 채권단은 금호아시아나그룹에 들인 자금과 기회비용을 감안하면 금호타이어를 아무리 잘 팔아도 아쉬울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보여왔다.
지난 2015년 금호산업 매각에선 호반건설이 시가의 35%에 달하는 프리미엄을 얹은 가격(지분 57.48%, 6007억원)을 제시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채권단이 별도의 예정가격을 정해두진 않았지만 대우건설 재무적투자자(FI)의 투자회수를 위해선 1조원은 받아야 한다는 점이 부담이 됐다. 수 차례 힘겨루기 끝에 박삼구 회장에 매각하기로 했는데 매각 완료 당시 주당가격은 시가의 3배(지분 50%+1주, 7228억원)에 육박했다. 금호타이어 매각에서도 시가는 큰 고려대상이 아닐 수 있다. 인수후보도 주가는 ‘참고자료’ 이상 의미를 부여하긴 어렵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시장과 예비입찰 과정에서 형성된 가격은 기준점이 될 만하다. 채권단은 가격은 밝히기 어렵다는 입장이지만 인수후보들은 모두 8000억원 이상의 금액을 써낸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에선 1조원이 기준점처럼 여겨져 왔다. 이보다 크게 낮은 금액에 매각할 경우 금호그룹 특혜 시비가 다시 불거질 수 있다.
채권단의 고심은 깊어질 전망이다. 아직 예정 가격을 정해두고 본입찰을 진행할지도 정해지지 않았다. 예정가격이 있을 경우 매각 성사 혹은 실패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마련될 수 있지만 그 기준 자체에 대한 논란이 있을 수 있다. 없다면 채권단이 유연한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반면 자의적, 혹은 외압에 따른 결정이 아니냐는 시선이 나올 수 있다. 이런 부담 때문에 각 기관들은 내부적으로 어떻게 우선협상자를 선정할지 고민하고 있지만 서로 의견은 교환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7년 01월 01일 09:3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