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쇼핑몰 월 2회 휴무 영향은 미미
정규직 전환 이슈는 백화점에 악재
-
새 정부가 추진하는 유통산업 규제가 현실화하면 백화점·대형마트·편의점 등 유통사들의 영업이익이 현재 수준보다 적게는 2%, 많게는 12% 정도 하락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하나금융투자는 29일 '유통 규제 불확실성 vs 소비심리 회복 사이'라는 리포트에서 새 정부가 추진 중인 유통업종 관련 규제와 그 효과에 대해 분석했다. 규제는 크게 ▲최저임금 인상 ▲복합쇼핑몰 월 2회 휴무 ▲정규직 전환 등 세 가지로 구분된다.
정부는 2020년까지 현재 6470원 수준의 최저임금을 1만원까지 올리겠다는 구상이다. 이렇게 되면 향후 3년 동안 최저임금이 연평균 15.6%씩 상승해야 한다. 이 여파는 고용 비중이 높은 대형마트와 편의점(가맹점주)에 가장 클 것이란 분석이다.
박종대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기존 최저임금 상승 추세(연평균 7~8%)를 고려하면 새 최저임금 상승 정책으로 백화점은 1.5%, 대형마트·편의점 가맹점은 각각 5% 내외의 추가 손실을 보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마트의 경우 현재 인건비 증가율이 실질적으로 8% 내외를 기록하고 있어, 최저임금 상승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실적에 이미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편의점 업계의 사정은 좀 다르다. 전체 비용에서 임대료·인건비를 합한 비중이 60% 수준으로 높다. 이 중 인건비(아르바이트 임금)가 최저임금 체계를 따르고 있다. 최저임금 급증은 편의점 업체들의 추가 비용부담으로 작용, 신규 점포 증가를 제약할 수 있다.
-
복합쇼핑몰 월 2회 휴무 규제는 롯데쇼핑과 신세계, 현대백화점, 이마트 등 주요 유통업체별로 이익의 1~2% 감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 4사의 전체 영업이익에서 복합쇼핑몰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기준으로 각각 9.9%, 4.7%, 3.5%, 3.2%를 기록했다.
정규직 전환 이슈는 백화점 업체들에 불리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현대백화점·신세계백화점은 각각 약 6000~7000명, 롯데쇼핑은 약 1만4000여명의 비정규직 인력을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된다. 이 경우 현대백화점·신세계백화점은 300억~350억원, 롯데쇼핑은 700억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각 회사 전체 영업이익의 8~9%에 해당하는 규모다.
박종대 연구원은 "이마트가 2008년 캐셔 5000명, 2013년 상품진열 1만1000명, 패션전문직 1600명 등 총 2만명에 대한 정규직 전환으로 1000억원 정도의 비용이 추가로 소요된 점을 반영했다"라고 밝혔다.
세 가지 규제가 온전히 유통업종에 반영될 경우 영업이익이 현재 추정치보다 백화점은 약 12%, 대형마트·편의점은 약 2%, 5%씩 하락할 것으로 관측된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7년 05월 29일 14:31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