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 조달 실패·관계 악화 원인
-
올 들어 다수의 국내 중견·중소기업 인수·합병(M&A)이 잔금 납입과 거래 종결(closing)을 앞두고 파기되는 사례가 잦아졌다.
주된 원인은 자금 조달 실패다. 엠알홀딩스-우림기계(올 2월), 블루사이드-삼본정밀전자(2월), SFI-지디(4월), KD건설-알티전자(10월) 등이다. KSY-에치디프로(3월), TS인베스트먼트-아이지스시스템(5월) 등은 대금 마련을 위해 끌어들였던 이해관계자와의 갈등이 매각을 무산시킨 사례다.
최근에는 파빌리온프라이빗에퀴티(PE)의 팍스넷 인수 시도(10월), KR모터스의 대림자동차 이륜차 사업부 인수 시도(11월)가 무산됐다. 지난 9월까지 코스닥 시장에서만 12건의 주식 양수도 계약(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경우만 포함)이 해지됐다. 전년 동기 대비(6건) 2배로 늘었다.
상당수는 자금이 부족한 인수자가 무리하게 M&A를 추진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완전히 조달한 상태가 아니다 보니, 인수 대금을 아파트 매입하듯 '계약금-중도금-잔금' 형태로 분할 납입하겠다고 요구한다. 이 과정에서 투자자 간 이견 발생·인수금융 심사 거절 등 '이벤트'가 발생하면 매각 무산으로 이어진다.
특히 사모펀드(PEF) 운용사 등 재무적 투자자(FI)는 이해관계자가 많은 프로젝트 펀드(deal by deal fund)로 거래를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 블라인드 펀드를 조성하려면 성공적인 회수 기록(track record)이 뒷받침돼야 하는 등 '문턱'이 높아서다. 이들이 탐내는 소규모 거래일 수록 프로젝트 펀드를 통한 인수 시도가 많아 거래 종결이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매도자 측의 이해도 부족이 매각 무산을 초래하기도 한다.
한 M&A업계 관계자는 "창업자 등 1세대는 투자은행(IB)업계에서 자주 활용하는 각종 옵션이나 투자 조항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면서 "구주 매각 및 투자 유치 과정에서 이런 일이 발생하면 투자자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 협상하는 과정에서 조항 등을 다시 따져 묻게 된다"고 설명했다.
다른 M&A업계 관계자는 "오너 일가와 관련된 거래일 수록 은밀하게 추진하다 보니, 관련 항목에 대해 외부 자문을 받는 일을 꺼린다"면서 "이로 인해 제대로 된 검증이 어려워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