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SK이노베이션·삼성전자 등 줄줄이 활용
주가 상승 단기적, 효과 미미…인색한 소통도 문제
눈 높아진 주주들 "장기 발전 위한 청사진 보여달라"
-
기업들이 주주가치를 높인다는 명분 아래 자사주를 매입하고 배당을 확대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장기 경영 전략의 일환이라기보다 단기적으로 주주의 환심을 사려는 경우가 많다. 주주자본주의 확대 움직임에 대한 대처방안이지만 본원적 경쟁력에 대한 고민 없이 돈만 푸는 것은 기업 가치를 스스로 깎아먹는 길이라는 지적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은 3월 지배구조 개편안을 내놓은 후 대규모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분기 배당 등 계획도 발표했다. SK이노베이션은 4월말 1조원 규모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밝혔고, 삼성전자도 지난해 기존 보유 자사주를 소각하고 2018~2020년까지 매년 9조6000억원을 배당하기로 했다. 올해는 액면분할 카드도 꺼냈다. 이 외에 많은 기업들이 자사주 매입 및 배당 확대 계획을 발표했다.
기업이 자사 주식을 매입하면 유통 주식 수가 줄어들어 주가는 올라가고 주당 배당액이 늘어난다. 자사주를 소각하면 주주들의 지분율이 올라가는 효과가 있고, 배당은 늘리는 만큼 주주의 이익이 확대된다. 모두 주주들이 반길만한 환원 정책이다. 상장 기업들이 주가 부양을 위해 '전가의 보도'처럼 꺼내 들곤 했다.
-
그러나 우리나라에선 주주들이 기업의 환원책에 만족하지 않고, 기업들도 기대했던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부분 주주에 과실을 돌려준다는 순수한 의도보다는 시끄러운 문제에 맞닥뜨렸을 때 주주의 불만을 잠재우는 용도로 활용했기 때문이다. 대기업들이 특히 주주들과 소통하는데 인색했다.
현대자동차는 ‘기업 경쟁력과 주주권익을 동시에 강화하는’ 지배구조 개편안이라고 자평했으나 공감을 얻지 못했다. 주주의 반발을 확인한 후에야 내놓은 당근은 주주들의 마음을 움직이기에 부족했다. 삼성전자가 꾸준히 펼쳐 온 주주가치제고 정책도 이재용 부회장의 재판에 유리한 영향을 미치기 위한 것 아니냐는 시선을 피하지 못했다. SK이노베이션도 주주들의 SK루브리컨츠 상장 철회 불만을 달래기 위해 자사주 매입을 선택했다는 평가가 따랐다.
주주환원책에 부수하는 주가 상승 효과도 미미할 수밖에 없다. 주가가 일시적으로 반등했다가 제자리를 찾는 경우가 많았다. 시장이 반기는 호재라도 기업의 본원 경쟁력을 높이는 전략이 수반되지 않으면 큰 의미를 두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현대자동차의 경우 한전부지 매입 등 주력 사업과 무관한 결정을 한 후 발을 뺀 장기 우량 투자자들도 있었다.
KB금융 사례에서도 자사주 매입의 딜레마가 엿보였다. KB금융은 굵직한 M&A와 계열사 완전자회사화 등 참신하고 활발한 경영으로 리딩뱅크를 탈환했다. 작년 말 오르는 주가에 화답하듯 자사주 매입을 결정했으나 주가는 반년만에 다시 제자리다. 향후 M&A 때 자사주를 활용할 수 있지만 주가가 횡보하는 현 상황에선 현금을 환가성이 떨어지는 주식으로 바꾼 이상의 효과는 없다는 평가가 나온다.
대형 법무법인 M&A 관계자는 “기업들이 내놓는 주주가치 제고 방안은 단기적이고 일회성인 것이 대부분이라 장기 투자자의 마음을 얻기엔 역부족이다”며 “눈높이가 높아진 주주들은 기업이 성장 가능한 곳에 자금을 투자하고 미래를 보여주길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주주의 이익을 기업 경영 최우선 목표로 삼는 주주자본주의는 국내에서도 점점 확대되는 추세다. 그러나 자칫 주주 환원책에만 치우쳐 기업이 투자 전략을 내놓지 못한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줄 수 있다. 동시에 단순한 자본구조 변화를 통한 이익 환원은 기업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대기업 임원은 “주주환원책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힘을 내지 못한 것은 기업의 생각과 시장이 원하는 방향이 달랐기 때문”이라며 “기업들은 단기적 과실을 얻으려다 성장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8년 06월 19일 07: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