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당선 이후 기대감 커진 대체 에너지 시장
GS건설, 해외 태양광 개발·배터리 재활용 선두
추격하는 삼성·현대, SK건설 'M&A'도 주목 요소
-
대형건설사들의 신사업 확장에 속도감이 더해지고 있다. 초점은 대체 에너지 분야다. 삼성물산, 현대건설, GS건설 등 주요 건설사들이 나서 태양광·풍력발전에 관련된 사업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있다. 친환경을 강조했던 미국 조 바이든 당선인의 영향이 덧대어져, 관련 투자는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올 들어 주요 건설사는 해외 부문 손실폭이 커지고, 국내 주택 부문의 규제 강화로 인해 위기가 찾아오고 있다. 코로나와 저유가에 현대건설은 분기 영업익의 40%가 꺾이기도 했다. 일찌감치 주택 부문으로 무게를 옮긴 GS건설, 대림산업 등 역시 2년 뒤를 점치기 어렵단 분석이 있다.
바이든 시대는 이런 건설사들의 고민을 가중시키고 있다. 바이든 당선인은 공약을 통해 청정에너지 인프라에 4년간 2조달러(약 2230조 8000억원) 투입, 5년 내 태양광 패널 5억장, 풍력발전기 6만개 도입을 예고했다. 석유에 기반한 발주처들의 여력은 줄어들 반면, 대체 에너지 시장에 대한 기대감은 더욱 커졌다.
한 ESG 전문기관 대표는 “바이든 당선인의 대선 공약을 보면, 시기적인 로드맵이 다 있고 결국 재정을 어떻게 투입할지의 문제만 남겨놓고 있다”며 “결국 국내처럼 미국 역시 경기 부양책으로 그린뉴딜을 쓸 수밖에 없을 것이고, 이는 전 세계 인프라 유관 기업에 엄청난 변화를 불러올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내 주요 업체 중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는 곳으로는 GS건설이 꼽힌다. GS건설은 지난해부터 우크라이나, 인도 등 해외 태양광 민자발전 시장에 연이어 진출했다. 신사업 추진 부문이 주체가 돼 포항 규제자유특구를 기반으로 오는 2022년까지 배터리 리사이클링 1차 투자(1000억원 규모)를 결정하기도 했다.
비건설 분야 M&A 역시 적극 고려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한 투자금융(IB)업계 관계자는 “오너 일가가 포함된 신사업 추진 부문에서 해외 태양광, 풍력발전 관련 투자에 관심이 많은 상황”이라며 “앞서 폐기물 업체 코엔텍이 인수 검토 대상에 올랐던 것처럼 기존과 다른 분야의 M&A가 언제든 이뤄질 수 있다”고 귀뜸했다.
-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은 최근 실적 발표에서 대체 에너지 분야에 대한 목표를 본격화했다.
삼성물산은 “앞으로 진행해야 할 강릉안인화력 발전소와 베트남 붕앙2 석탄화력 발전소 사업은 엄격한 환경기준을 통해 시공하겠다”며 “이후 석탄화력 관련 사업에는 투자, 시공 등 어떠한 방식으로도 참여하지 않겠다”고 했다. 추후 LNG 복합화력 및 저장 시설, 풍력과 태양광 중심의 사업 확장 의지를 밝혔다.
현대건설 역시 신재생에너지에 관련된 언급을 구체화했다. 지난달 '현대건설 2025 전략'을 발표하며 10% 수준의 설계·미래기술 인력을 20% 이상 확대하기로 했다. 수소 연료 발전과 해상풍력 등 에너지 사업, 스마트팜과 바이오스 등 환경 분야 사업의 투자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SK건설은 ESG 경영을 강조하는 그룹사의 기조에 맞춰 환경 분야 M&A에 적극이다. 최근 1조원 규모의 EMC홀딩스 인수를 마무리했으며, 추가적인 폐기물 업체 매물을 탐색중인 상황이다. 자체적으로도 스마트그린산단 조성, 친환경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공장 준공 등 움직임이 활발하다.
이처럼 주요 건설사들의 의지는 명확하지만, 수익성은 일관된 고민거리다. 시장에서도 방향성 자체에 의문을 가지는 이들은 적다. 하지만 투자에 따른 이익이 얼마나 돌아올지는 예측하기 어려워하고 있다. 구체적 사업 성공 사례가 이들의 성패를 가를 전망이다.
한 증권사 건설 담당 연구원은 “최근 각 사에서 공통된 목소리로 대체 에너지 분야에 대한 목표를 언급하고 있지만, 수익을 보장하는 실질 내용이라고 보긴 어렵다”며 “방향 자체가 정부 주도 정책들과 결이 다르지 않은 점은 호재이지만, 결국 ‘어떻게 돈을 버는지’에 대한 결과가 각 사 기업가치를 가를 것”이라고 지적했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0년 11월 15일 09: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