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홀딩스 지주사 아래 포스코는 비상장사로
‘비철강 사업 확장 전략 일환’ 평가
최대주주 국민연금, LG화학·SK이노 물적분할 반대 이력
국민연금 포함 소액주주 설득이 최대 관건
-
- 이미지 크게보기
- (그래픽=윤수민 기자)
포스코가 지주회사 전환을 확정했다. 철강 생산 및 판매 등 일체 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하는 방식이다. LG, SK 등 대기업들의 분할 사례에서 기관투자가들이 ‘반대’에 나섰던 방식을 고수했기 때문에 국민연금을 비롯한 투자자 설득이 가장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포스코는 10일 이사회를 열어 철강 생산 및 판매 등 일체의 사업부문(가칭 포스코, 이하 신설회사)을 분할해 포스코홀딩스(가칭)의 자회사로 두는 물적분할 안건을 의결했다. 해당 안건이 주주총회의 최종 승인을 얻으면 포스코그룹은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고 그룹의 주력사업인 신설회사(포스코)는 비상장회사로 남는다. 주주총회는 내달 28일로 예정돼 있다. 분할기일은 내년 3월1일이다.
-
포스코그룹은 “존속회사는 지주회사 역할에 집중하고, 분할신설회사는 철강 생산 및 판매 등 독립경영체제를 기반으로 사업특성에 맞는 의사결정을 통해 국내외 성장 및 경쟁력 강화에 주력하며 경영효율성을 극대화 한다”며 이번 분할 목적을 설명했다.
투자은행(IB) 업계에선 이번 포스코의 지주회사 전환과 관련해 주가 상승 여력이 크지 않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전략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회사는 지난 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고 현재 이익잉여금만 50조원에 달하는 우량기업이지만 시가총액은 25조원 수준에 머물러 있다. 코스피 시가총액 기준 10위권 밖으로 밀려나 있는 상태이기도 하다.
철강부문에 대해 투자자들이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꾸준히 제시하는 상황에서 회사는 비철강부문의 성장을 강조하고 있다. 올해 들어선 2차전지 소재와 수소 등과 같은 신사업에 공을 들이고 있고 공격적인 탄소배출 감축 목표를 제시하기도 했다.
포스코는 이번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통해 철강, 배터리 소재, 리튬·니켈, 수소, 에너지, 건축·인프라, 식량 등을 그룹 핵심 기반사업으로 선정해 각 사업부문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단 의지를 나타냈다. 현재 그룹 매출액의 절반 이상(54%)은 철강부문에서 발생하고 있고, 무역(33%), 건설(8%), 기타(5%) 부문이 차지하고 있다. 지주회사 체제 전환 또한 철강부문에 대한 집중도를 낮추고 신사업 분야에 분산하겠단 의미로 해석이 가능하다.
-
이사회를 앞두고 분할 방식에 대한 논의도 활발했다. 이날 이사회에는 물적분할 하는 방식과 인적분할 방식이 모두 상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적분할 방식의 경우엔 현재의 국민연금, 씨티뱅크 등 대주주와 소액주주의 구성이 유지된다. 다만 지주회사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사주(13%)만큼 신설회사의 지분을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추후 조 단위 이상의 비용을 들여 추가 지분을 사들여야 하는 점이 걸림돌이었다. 내년부터는 공정거래법 개정으로 지주회사가 의무적으로 보유해야하는 자회사 지분율이 기존 20%에서 30%로 상향조정되기 때문에 부담은 더욱 커진다.
앞으로 주주들을 설득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포스코의 최대주주는 국민연금으로 지분 9.74%를 보유하고 있다. 소액주주 비중은 약 70%이다.
국민연금은 지난해 물적분할 방식을 택한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물적분할에 대해 반대표를 행사한 바 있다. 물적분할이 기존 주주들의 가치 제고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에서다. 회사의 분할 안건은 전체 주주의 66.7%의 동의가 필요한 사안으로 국민연금을 비롯한 주주들의 반대표 행사가 현실화할 경우엔 지주회사 전환 계획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결국 포스코가 과거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사례를 뛰어넘는 지주회사 전환의 ‘정당성’과 ‘합리성’을 투자자들에게 얼마나 잘 어필할 수 있느냐가 이번 지주회사 전환의 최대 화두가 될 것이란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