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 주주들, 재산권 침해에 대한 목소리 커져
-
주주총회 시즌을 앞두고 주주환원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때보다 높다. 그 중에서도 코로나 업종 최대 수혜를 입은 금융지주의 주주환원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크다.
각 금융지주들도 높아지는 주주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배당을 확대하고 일부 금융사는 자사주 소각을 발표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이들이 감독당국의 눈치를 본다는 말이 나온다. ‘관치 금융’이란 꼬리표를 떼겠다는 감독당국이지만 인사 문제를 제외하곤 여전히 ‘그립’(장악력)을 쎄게 잡는다는 평가다.
지난해 실적 발표에 나선 금융지주들은 주주 환원 정책을 발표했다. KB금융은 작년 배당성향을 26%를 높이고, 1500억원어치 자사주를 소각하기로 했다. 연간 주당 배당금도 전년보다 66% 많은 2940억원을 결의했다. 신한지주는 기말 배당금 1960원으로 결정하고, 배당성향을 25.2%까지 끌어올린다. 우리금융은 주당 배당금을 역대 최대 수준인 주당 900원으로 결정했다. 배당성향은 25.3%다. 하나금융은 주당 2400원의 기말현금배당을 결정했다. 중간배당 700원을 포함하면 볻통주 1주당 총 현금배당은 3100원으로, 연간 배당성향은 26%다.
이처럼 4대 금융지주는 코로나 이전수즌으로 배당을 확대했다. KB금융은 자사주 소각을 결정하는 등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냈다. 주주들이야 두 손을 들고 반길 일이지만, 금융지주들은 이런 결정을 하면서도 감독당국의 눈치를 실핀 것으로 들려온다. 주주에게 돌려주는 몫을 결정하는 것조차도 감독당국의 태도를 살펴봐야 하는게 여전히 금융권 정서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금융주 주가를 놓고 이야기 할 때 빠지지 않는게 감독당국의 입장이다.
암묵적으로 금융권에선 배당성향 25~30%가 가이드라인으로 통한다. 감독당국에서 정한 마지노선이란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마지노선은 어떤 근거가 있는가를 살펴보면 감독당국이 딱히 내놓은 정답은 없다. 과거 IMF 등을 겪으면서 금융의 건전성 확보가 감독당국의 제 1 업무가 되면서 과도한 배당성향에 대한 규제가 있어왔던 것이다.
더불어 최근에는 감독당국이 지속적으로 금융사에 추가 충당금 요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코로나 대출 등으로 인해서 부실이 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이런 우려가 전해지자 금융지주 주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 아니냐는 말이 나왔다.
우선 금융사들의 충담금 적립에 따른 단기실적 하락 우려가 첫 손에 꼽힌다. 만약 충당금을 넘어선 부실이 발생할 경우 길제로 금융지주 자산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이는 배당에 대한 우려로도 확산된다. 금융지주들은 이미 지난해 초 코로나19에 따른 금융환경 불안정성을 이후로 배당을 규제당했고, 이는 주가에 충격을 줬다.
다만 이런 우려는 과도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은행들의 자산건전성이 크게 개선되고 있다는 것이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3대 은행 평균 기준 은행의 연체율 및 NPL 비율은 작년 3분기 기준 각각 0.19%, 0.27%로 전년 동기 대비 3bp, 및 8bp 개선됐다. 은행들의 자본비율도 크게 개선됐다. 국내 은행들의 CET-1 자본비율은 3분기 기준 14.5% 규제 비율을 크게 상승하고, 역대 최대 수준으로 개선되었다는 점이다.
즉 아직까진 드러난 데이터로는 은행들의 건전성에 대한 우려의 징후는 없다는 것이다.
물론 미국 금리 인상 기조 속에 국내에 미칠 영향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평가다. 감독당국이 줄곧 주장하는 바대로 은행의 건전성 이슈는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에선 다른 의견이 없다. 다만 “무조건 하지 말라”는 식의 대응에는 문제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의 사례를 참조할 만하다는 평가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금융기관들은 대규모 공적자금 지원을 받았다. 웰스파고를 비롯해 공적자금을 받은 은행들은 미국의 감독당국에서 철저하게 배당 등에 대한 통제를 받았다. 당연히 이들의 주가가 좋을리 없었다.
반면 리스크 관리에 성공한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등은 배당에 대한 규제를 받지 않았다. 이유는 공적자금을 받지 않은 은행까지 감독당국이 나서서 ‘감놔라 배놔라’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시선을 국내로 돌려보면 국내 금융지주들은 여전히 IMF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후 은행의 주요 의사 결정인 주주환원 정책에서 조차 자율권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니 금융주는 투자자들의 단골 외면대상이었다. 이전에야 투자자들이 그러려니 했지만, 최근의 주주들의 반응은 이전과 사뭇다르다.
감독당국의 근거 없는 규제는 명백한 주주 재산권 침해라는 의견을 내세우고 있다. 미국과 달리 국내 금융지주들은 특별하게 사고를 치지 않았음에도 여전히 감독당국의 눈치를 봐야하는지 생각해볼 문제다. 물론 감독당국이 사전적으로 관리를 잘해서라고 주장할 수 있겠지만 과거와 달리 이제는 주주들이 재산권 침해를 지켜보지만은 않을 기세다. 감독당국도 주주들을 설득할 논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