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상에 조달비용 급증
수익성은 줄고, 비용은 그대로
제도에 가로막힌 기관투자가 유치
M&A 시장에 속속 등장하는 P2P 매물들
-
- 이미지 크게보기
- (그래픽=윤수민 기자)
잘나가던 온라인투자연계금융(이하 P2P) 플랫폼 기업들의 상황이 심상치 않다. 금격한 금리 상승기를 맞아 조달 금리는 크게 높아졌고 그만큼 수익성이 악화했다. 현 금융당국의 관리 감독 내에선 대출 금리 수준을 마냥 높일 수도 없는 상황인데 금융기관들로부터의 투자 유치도 가로 막혀있다.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법이 시행한지 2년, M&A 시장에 경영권을 내놓는 기업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과거 대부업법 규정을 적용받던 P2P 플랫폼 기업들은 2020년 8월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이 제정됨에 따라 제도권에 편입됐다. 현재는 총 46곳의 P2P 플랫폼 업체가 등록돼있다.
지난 수년 간 주택담보대출이 묶이면서 P2P 플랫폼 기업들은 제도권 금융기관의 데체재로 각광받아왔다. 투자자와 차주의 연계를 통해 금융권의 담보인정비율(LTV)을 넘어서는 대출이 가능했고, 부동산 시장의 급등 및 주식시장의 활황으로 수요가 늘며 급격하게 성장해왔다. 글로벌 투자은행(IB)인 골드만삭스와 베인캐피탈 등은 피플펀드(회사명: 피플펀드컴퍼니)에 지분을 투자했고, 8%(회사명: 에잇퍼센트)엔 글로벌 벤처캐피탈(VC) 운용사 BRV캐피탈매니지먼트가 출자했다.
올해 들어 시작된 기준금리의 인상은 P2P 플랫폼 기업들의 수익성을 악화하는 주요한 원인이 됐다. 투자자로부터 약 1~2%의 수수료를, 차주로부터 4~5%가량의 수수료를 받아 운영하는 투자구조상 수익구조는 연계 대출 규모의 많아야 2~3% 수준이었다. 다만 조달 금리가 급격하게 높아지는 현재로선 2~3%대의 수익성도 방어하긴 어려운 상황에 몰려있다.
온라인투자연계금융협회에 따르면 온투업 신규 대출액은 지난 2020년 약 3조원 규모였으나 지난해엔 2조5000억원 수준까지 떨어졌다. 같은기간 순손실은 480억원에서 630억원으로 늘어났다.
수익을 내진 못하는데 비용은 많이드는 스타트업과 유사한 재무구조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도 다수다. 글로벌 투자자들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한 P2P 플랫폼 기업의 지난해 영업수익은 약 70억원 수준이지만 영업비용으로 약 190억원을 지출했다. 이 가운데 인건비가 100억원, 복리후생비(약 5억원)와 광고선전비(약 12억원), 임차료(약 9억원) 등을 포함한 기타 영업비용이 50억원을 나타냈다.
IB 업계 한 관계자는 "소비자들의 수요와 달리 P2P 플랫폼 기업들의 실제 수익성은 상당히 낮은편"이라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지출하는 과도한 비용 구조 등도 수익성을 저해하는 요인 중 하나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온라인투자금융업계에선 P2P 플랫폼 기업들이 꾸준히 시장을 확대해나가지 못하는 데는 제도적인 제약이 있다고 지적한다. 개인들의 투자는 실질적으로 3000만원 한도로 묶여있고, 기관투자가들의 온투업 사업자에 대한 투자가 대출로 간주돼 사실상의 투자가 어려워진 상황이라고 설명한다.
이 같은 상황에서 M&A 시장에 등장하는 P2P 플랫폼 기업들도 늘고 있다. 올해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법 라이선스를 획득한 칵테일펀딩(회사명: 트리거파트너스)는 자문사를 선정해 구주매각 또는 투자금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실제로 국내 한 대형 P2P플랫폼 기업을 비롯한 다수의 P2P 기업들이 지분 매각 또는 자금 유치를 위해 국내외 금융기관들을 찾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IB 업계 한 관계자는 "플랫폼 기업들의 투자금 유치 또는 경영권 매각 문의가 늘고 있지만 제도적으로 성장성이 가로막혔고 사업 및 비용 구조 등을 따져볼 때 기관들의 투자 수요가 그렇게 크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