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 업계 한파로 '꿈의 직장' 이직 인기도 시들
너무 오른 밸류에 유니콘도 "스톡옵션 의미 없다"
'기세 꺾인' 유니콘들, 고임금 인력 영입 부담도↑
일부 여유 있는 곳만 외부 투자·인재 영입 기회
-
- 이미지 크게보기
- (그래픽=윤수민 기자)
#한 대형 회계법인 임원은 공석이 생긴 프롭테크 유니콘 기업의 C레벨 자리 제안을 받았으나 거절했다. 회사가 몇 년 내 상장도 계획하고 있지만 주식 시장이 침체한 상황에선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을 받아도 큰 이득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한 대기업 임원은 유니콘 커머스 기업으로 이적을 고민했으나 회사에 남기로 했다. 매출이 늘고 투자유치도 이어지는 곳이지만 지금처럼 변동성이 클 때는 안전한 울타리가 있는 곳이 낫다고 판단했다.
#한 IB 임원은 올해 초까지 대형 테크 기업의 오퍼를 받고 고민했으나 주변의 만류를 받았다. 당장의 성장세에 혹하기보다는 지금까지 쌓아온 커리어를 지키는 편이 나을 것이란 판단에 잔류를 결정했다.
벤처업계에 한파가 불면서 ‘꿈의 직장’으로 불린 유니콘의 인기도 옛말이 됐다. 작년까지만 해도 스타트업 및 유니콘 기업 이적 광풍이 불었지만 올해는 다르다. 책임자급 임원인 ‘C레벨(C-level)’ 자리조차 관심이 크게 줄었다. 성장 가능성에 베팅하기보다는 ‘안전한 곳에 있자'는 경향이 짙어졌다.
이러한 '안전 추구'의 이유로는 경기 불안에 따른 테크 및 벤처업계의 위축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거래 중개'만으로 큰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던 플랫폼을 시작으로, 벤처 업계 전반에 도산 위기가 퍼지고 있다. 거품일지 모를 기업가치만 보고 이적하는 것은 '도박'이라는 인식이 많아졌다.
이러니 유니콘 기업들이 인력을 대거 빼앗겼던 투자은행(IB), 대기업, 법무법인 및 회계법인 등 안전한 회사들에 대한 인기가 다시 살아나는 분위기다. "옮겼으면 큰일날 뻔했다"거나 "남아 있는 사람이 승자"라는 말이 공공연하다. 물론 스타트업들의 인력 수요도 전만 못하다.
한 테크 스타트업 대표는 “지금은 시장이 좋지 않고 가까운 미래에 상장할 계획도 없다 보니 외부 인사 충원 계획이 없다”며 “임원급은 스타트업 문화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기존 경영진과 역할이 충돌하는 경우도 많아 영입하기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이는 미국도 마찬가지로 6월 블룸버그는 '모두가 다시 크고 따분한 직장에 다니고 싶어한다(Everyone Wants to Work for Big, Boring Companies Again)' 제목의 칼럼에서 "그동안 빠르게 성장하던 테크 스타트업들이 젊고 능력있는 인재들을 빨아들였지만, 이제는 무게추가 다른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더해 이제는 외려 안전한 직장들이 사람을 줄이려하고 있다.
작년까지는 증시 호황을 거치며 '스톡옵션 매매차익' 사례가 자주 나왔다. 이는 유니콘 기업으로 이동할 큰 유인이 됐지만 이제는 기업가치에 대한 의문이 많아졌고, 스톡옵션의 의미도 줄었다. 증시에서 프리 IPO(상장 전 지분투자)로 설정한 기업가치를 인정받기 어려워졌다. 투자 유치 라운드만 쌓아가거나, 기존보다 몸값을 낮추려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 성장기업들은 통상 스톡옵션을 부여할 때 최근에 인정받은 기업가치를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지금 자리를 옮겨봤자 큰 돈을 벌기 쉽지 않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많은 기업들이 몸값 욕심을 부린 탓에 상장이 어려워졌고, 그러니 스톡옵션의 의미도 줄어들었다"며 “예전 같으면 유니콘으로의 이적 제안이 솔깃했겠지만 지금은 초기 사업 구축 등 기회비용 대비 장점이 크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나마 최근엔 스톡옵션 부여에도 인색해지는 분위기다. 한 벤처업계 관계자는 “업비트(두나무) 등은 한창 임원들에 수백억원에 달하는 보너스를 주는 등 ‘후한 보상’으로 업계 내 인기를 끌었는데, 이제는 스톡옵션도 잘 주지 않는다고 들었다”며 “거래소에서 유니콘의 밸류에 대한 타당성, 바이오기업들의 기술특례상장 허들을 높이면서 사실상 상장은 물 건너갔다고 보는 곳들이 많다”고 말했다.
중개가 아닌 자체적인 매출로 재무적 완충력을 키운 곳들은 지금을 기회로 보기도 한다. 동종업계 소규모 스타트업 등에 추가 투자해 지배력을 확대하는 한편, 투자업계 인력에도 꾸준히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거래가 줄며 성과급을 받기 어려워진 IB와 VC의 인력들이 주요 접촉 대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