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셀다운 리스크에 실제 클로징 사례는 지켜봐야
-
- 이미지 크게보기
- (그래픽=윤수민 기자)
단기간에 치솟은 금리로 국내 M&A시장에서 은행·증권사 등으로부터 인수금융 조달이 나날이 어려워지는 추세다. 그럼에도 불구, 사모펀드(PEF)를 위시한 투자자들에게 인수금융 수요는 여전하다. 이 틈새에서 '강달러/원화가치 하락' 효과를 누리는 해외 금융기관들의 인수금융 시장 활동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인수금융 자금 조달 금리가 높아지는 추세다. 국내의 경우 인수금융 금리는 올해 초 3~4%대에서 최근 8~9%대까지 치솟았다. 미국 중소기업 인수금융 대출에서 주로 활용되는 '중소기업청(SBA) 대출 보증 프로그램'에서도 변동금리가 7.75~10.25%, 고정금리가 10.50~13.50%로 높아졌다. 금리 인상과 동시에 시중은행 등 상당수는 최근 인수금융 투자에도 발을 빼는 추세다.
다만 달러 조달이 가능한 해외 금융사들은 환차익 효과로 '틈새' 개척이 가능하다. 연초 1100원대였던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에 육박해진 상황이어서 국내 금융사보다 조금 금리를 낮추더라도 환차익으로 커버가 가능하다. 또 5년 뒤 인수금융을 상환 받을 때 원화가치가 지금보다 오를 경우 추가적인 차익도 가능하다.
PEF 운용사들 사이에서는 이미 해외 인수금융 활용 움직임이 슬슬 드러나고 있다. 올해 구강스캐너 기업 '메디트' 매각 당시, 주요 후보군에 속했던 KKR이 해외 금융사에서 인수금융을 조달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알려진다.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5년 전 조달한 인수금융 만기 차환을 준비해야 하는 대형 PEF들도 해외 인수금융사의 제안을 기다리는 것으로 알려진다. 업계 관계자는 "5년 전과 현재 인수금융 금리 차이가 너무 크다보니 미리 준비해야 하는데 국내 금융사들의 움직임이 없다면 결국 해외 금융사들의 손을 빌릴 가능성이 높다"라고 밝혔다.
다만 수수료 문제로 인해 아직까지는 본격화하지는 않은 상황이다.
IB업계 관계자는 "셀다운 리스크가 있는 건 사실이지만, 국내보다 해외가 인수금융 주선 수수료가 높다 보니 현지 증권사는 기회비용을 저울질하는 중이라고 볼 수 있다"면서 "최근 고금리 기조에 대출 자체가 힘들고 선진 금융시장에서 한국은 상대적으로 위험 국가로 분류된다는 점이 변수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