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원 규모 부실PF 채권 매입 펀드 조성
대체투자 "앵커출자자(LP) 역할도 기대"
-
- 이미지 크게보기
- (그래픽=윤수민 기자)
한국자산관리공사(이하 캠코)의 자본시장 내 존재감이 점차 커지고 있다. 올해부턴 기업구조혁신펀드의 운용을 직접 담당하고 1조원 규모의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매입·정리펀드'를 조성해 정부의 중점 사업을 지원한다. 캠코는 최근 몇 년 새 대형 사모펀드(PEF) 운용사들과 접점을 늘리며 출자사업을 진행해 왔는데 앞으로 출자자(LP)로서 보폭을 더 넓혀갈 것이란 평가다.
금융위원회는 상반기 내 제 4차 기업구조혁신펀드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기업구조혁신펀드는 중소·중견기업의 구조조정을 지원하기 위해 조성하는 펀드로 정책금융기관과 민간투자자들이 출자자로 참여한다.
2018년 출범한 기업구조혁신펀드의 운용은 이제까지 한국성장금융이 담당했지만 올해부턴 기존출자기관으로 참여했던 캠코가 직접 운용을 맡는다. 사실 본래의 취지는 시장 중심의 상시적 구조조정을 지원하는 것이지만 지난해부턴 구조조정의 주체를 민간보다 정책 부문으로 옮겨와야 한다는 정책적 기조가 이번 운용 주체 변경에 영향을 미쳤단 평가다. 캠코가 구조혁신펀드를 운용하게 되면서 자체 지원 프로그램인 회생 기업 신규자금대출(DIP)금융, 세일즈앤리스백 등과의 연계도 가능해졌다.
캠코는 이미 2021년 '한국자산관리공사 설립 등에 관한 법률'의 개정을 통해 캠코의 지원대상을 부실징후 기업에서 구조개선기업까지 확대했고, 최근엔 기관전용 PEF 운용사 등록을 위한 이사회 결의와 내부 규정 정비도 마친 상태다.
캠코는 구조혁신펀드의 운용과 더불어 현 정부의 최대 현안인 '부동산PF 시장 안정화'를 위한 펀드 조성에도 나선다. 정부는 2008년 출범한 대주단협의체를 재구성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데 대주단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펀드 조성을 구상중이다.
투자은행(IB) 업계 한 관계자는 "부실채권 매입, 부실PF 사업지원 등 본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캠코를 중심으로 부동산과 기업 등 전반적인 부실화 자산에 대한 대응을 일원화하려는 취지로 보인다"고 말했다.
사실 캠코는 최근 1~2년 새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들과 접촉하며 대체투자부문 출자 사업 확대를 구상해 왔다. 지난해엔 '자본 확충형 기업지원펀드'를 조성하기 위해 컨테스트를 진행, 최종적으로 JKL파트너스를 운용사로 선정했다. 해당 출자사업을 통해 캠코가 과거 회생기업의 부실채권 인수와 같은 사후적 구조조정 지원 전략에서 벗어나겠단 의지를 내비쳤단 평가를 받는다.
캠코는 다수의 운용사들과 접촉을 통해 캠코는 앵커출자자(메인투자자)로서 역할을 기대한 것으로 전해진다. 캠코는 지난해 JKL파트너스에 1000억원가량을 출자했고, 이와 비견할 규모의 출자사업도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으로 알려졌다. 내부적으로도 출자 사업을 추진할 실무진의 역량도 잘 갖춰져 있다는 평가도 있다.
대형 PEF운용사 대표급 관계자는 "향후 캠코가 부실채권 분야뿐 아니라 대체투자 부문에 대한 출자사업도 활발히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며 "다만 민간 운용사들은 정책 목적이 강한 캠코가 앵커출자자로 주도권을 잡는다면 결성하는 펀드가 정부의 방향성에 부합해야한다는 부담도 적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