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 순이익 성과급 평가에 중요 잣대
순이익 지표, 성과평가 지표로 한계 지적 다수
IFRS17 도입에 맞춰서 성과평가 체제 대대적 변화 필요
-
보험사의 과도한 성과급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주요 보험사 최고경영자(CEO) 연봉이 공개됐다. 월급쟁이 CEO로는 홍원학 삼성화재 사장이 '연봉킹'에 올랐다. 그 뒤는 전영묵 삼성생명 사장이 이었다.
보험사 CEO들은 연봉의 상당부분을 성과급으로 챙겨갔다. 이에 대해 성과급을 챙길 정도로 보험사 재무건전성 개선이 되었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26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정몽윤 현대해상 회장은 지난해 29억4300만원의 연봉을 수령해 생명보험사 및 손해보험사 경영자 중 가장 높은 급여를 받았다. 그 뒤를 이어서 홍원학 삼성화재 사장 17억6400만원, 전영묵 삼성생명 사장 15억9600만원을 수령했다. 그 다음으로는 조용일 현대해상 사장 12억400만원, 여승주 한화생명 대표와 김정남 DB손해보험 대표가 각각 11억6000만원, 10억9800만원을 수령했다.
이들의 연봉에는 상당수의 성과급이 포함됐다. 정몽윤 현대해상 회장의 경우 상여금 20억3800만원, 홍원학 삼성화재 사장은 상여금 9억4600만원, 전영묵 삼성생명 사장은 상여금 6억1000만원을 받았다. 조용일 현대해상 사장과 김정남 DB손해보험 대표는 각각 8억1300만원, 5억9000만원의 성과급을 챙겼다.
이러한 성과급의 배경으로는 호실적이 꼽힌다. 대부분의 보험사들이 순이익을 기준으로 성과급을 지급한다. 일례로 월급쟁이 CEO로 '연봉킹'을 차지한 홍원학 사장과 전영묵 사장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삼성화재는 홍 사장의 성과급 지급 사유로 "지난해 매출액 25조8000억원, 세전이익 1조6000억원을 달성했으며, 해외사업 실행력 강화 및 디지털사업 활성화를 주도하여 미래성장 기반을 마련한 점을 고려한다"고 밝혔다.
삼성생명은 전 사장의 경우 "세전이익 8000억원 달성 등 재무적 성과 달성과 더불어 해외 비지니스 확대, 디지털 사업 역량 제고, 보험 상품 시장 대응력 강화 등 미래 성장 동력 확보 및 중장기 회사가치 제고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회사의 이런 평가와 달리 보험사를 바라보는 시장의 평가는 냉정하다. 겉으로 보기에는 보험사들이 견조한 매출과 순이익을 거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단기 성과일 뿐 대내외 위험요인이 여전한 까닭이다.
미국의 실리콘밸리은행과 마찬가지로 채권에서 막대한 평가손이 발생했다. 보험사 총자산은 1310조883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48조6283억원(3.6%) 줄었고, 자기자본은 총 88조8500억원으로 전년대비 34% 감소한 45조7535억원 급감했다. 급격한 금리 상승으로 매도가능증권 평가손익이 총 49조5000억원 감소했기 때문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보험사의 경우 실리콘밸리은행과 마찬가지로 장기채권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금리 상승에 따른 영향이 크다"라며 "장기로 보유한 매도가능증권에서 막대한 평가손이 발생해 자본감소가 나타났다"라고 말했다.
다만 이러한 자본감소는 회계적으로는 손익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삼성화재를 살펴보면 작년 자본은 11조415억원으로 2021년 대비 4조원 이상 감소했다. 삼성생명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삼성생명의 지난해 자본은 24조1684억원으로 2021년 대비 15조원 이상 감소했다. 그럼에도 두 회사는 조단위 순이익을 기록했다.
어디까지나 평가손이라고 주장할 수 있지만, 지난해 하반기 금융권 '머니무브'로 인해서 보험사 유동성에 비상이 걸렸던 사례를 생각하면 안심하긴 이르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고객들이 보험을 해지할 경우 이들은 실리콘밸리은행 처럼 채권을 팔아서 고객에게 돈을 줘야 하는 상황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삼성생명 조차 유동성 확보를 위해서 크레딧라인 확보에 나섰다는 말이 돌았다"라며 "풍문의 단계이긴 하지만 대형 보험사 역시 유동성 이슈에 자유롭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보험사가 처한 이런 문제 중 일부는 올해 도입되는 IFRS17으로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보험사의 부채를 시가 평가하면서 회계적으로 금리 상승기 보험사의 자본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보험사에 유동성 문제가 생긴다면 해당 평가손이 난 채권을 팔아야 한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문제는 여전하다는 분석이 많다.
보험사에 있어 순이익이 설명하는 부분은 상당히 제한적이라는 지적이다. 제조업과 달리 보험사는 미래에 발생할 순이익을 현재에 얼마나 인식하느냐에 따라 순이익의 편차가 크다. 보험사 CEO 입장에선 회사의 재무건전성보다는 순이익을 늘리는 방식으로 성과를 과대 포장할 유인이 있는 것이다. IFRS17 도입 이후에도 보험사 CEO 성과 평가에 있어선 단순히 순이익뿐 아니라 재무건전성 등을 함께 살펴봐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한 계리 전문가는 "기존의 재무제표에선 순이익은 보험사의 건전성 등 재무안정성에 대해 설명해 줄 수 있는 지표가 아니지만, 여태까지 깜깜히 회계 속에서 순이익 지표를 중심으로 CEO 성과를 평가했다"라며 "IFRS17이 도입되면 회사의 미래 이익에 대한 추정이 가능해지고, 순이익 지표도 이전보다는 보험사의 실제 이익을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CEO 성과평가 체제를 다시금 논의할때가 됐다"라고 말했다.
금융당국도 보험사의 과도한 성과급에 대해서 문제를 삼는 것도 이러한 상황과 무관치 않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보험사 CEO 간담회에서 "보험산업은 타 금융산업보다 장기 금융상품을 다루고 있는 만큼, 중장기적 관점에서 내부통제 강화 및 성과보수체계 개선에도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라고 말한 바 있다.